[경향의 눈]‘제멋대로 국정’의 끝판왕, 의료대란 9개월

의료대란 뉴스

[경향의 눈]‘제멋대로 국정’의 끝판왕, 의료대란 9개월
독단적 국정 운영꼼수변칙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7 sec. here
  • 5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8%
  • Publisher: 51%

지난 2월6일 정부의 의대 2000명 증원 규모 발표로 촉발된 이른바 의료대란이 만 9개월을 지나고 있다. 현 상황은? 한마디로 기가 막힌다. 의료대란 뒷수습을 위해 2월부터 9월까지 쏟아부은 건강보험 재정만 2조원이 넘는다(국회예산정책처). 앞으로 얼마가 될지는 가늠조차 어렵다. 최근 정부는 의료개혁과 관련해 2028년까지 10조원 이상의 건보재정 ...

의료대란 뒷수습을 위해 2월부터 9월까지 쏟아부은 건강보험 재정만 2조원이 넘는다. 앞으로 얼마가 될지는 가늠조차 어렵다. 최근 정부는 의료개혁과 관련해 2028년까지 10조원 이상의 건보재정 투자를 추진한다는 계획까지 밝혀, 건보재정은 1~2년 내에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의사들이 떠나고 있다. 전공의 9000명가량이 수련병원을 떠났고,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병원을 지키던 전문의들도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줄줄이 병원 문을 나서고 있다. ‘의료개혁’이라고 이름 붙인 독단적 국정운영의 처참한 성적표다.

당초 2000명은 요지부동인 듯 보였다. 2000명의 근거가 무엇이냐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정부는 2000명은 최소한의 증원 규모로 단 한 명도 줄일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총선 이후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 인원의 50~10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감축 모집을 허용했고, 증원 규모는 1500명 선으로 조정됐다. 휴학 불허 방침을 유지하던 교육부는 2학기도 절반이 지난 지난달 29일에야 조건 없는 승인으로 입장을 바꿨다. 앞서 지난 7월에는 유급 판단 시기를 학기 말에서 학년 말로 변경하고 F학점을 받아도 유급에서 제외키로 했다. 꼼수와 변칙의 연속이다. 지난달 6일엔 의대 교육과정을 5년제로 단축할 수 있다는 안을 내놨다가 후폭풍이 거세자, 이틀 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강제성이 없다. 단축 못하면 안 해도 된다”며 물러섰다. 원칙은 애초에 무너졌다.

교육 상황보다 더 큰 문제는 의대 증원이 향후 10년간 의사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현 사태 해결의 핵심은 의대생과 전공의의 복귀다. 이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전공의, 전문의 배출이 차례로 중단되는 의사 공급 절벽을 맞게 된다. 인턴, 군의관, 공보의 부족 등도 도미노처럼 따라올 것이다. 당장 2025년도 의사 국시 실기 합격자는 불과 266명으로 지난해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아무리 돈을 쏟아부어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독단적 국정 운영 꼼수 변칙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향의 눈]윤석열·한동훈의 기싸움을 왜 봐야 하나[경향의 눈]윤석열·한동훈의 기싸움을 왜 봐야 하나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폭탄주’와 ‘콜라’만큼 기질이나 스타일이 한참 다르다. 그래도 두 사람은 2003년 SK 분식회계 사건에서 만나 형님, 동생 하며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향의 눈]김일성 아닌 박정희가 되려는 김정은[경향의 눈]김일성 아닌 박정희가 되려는 김정은K대대? 또 다른 K신드롬인가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북한이다. 러시아군이 전장 배치를 앞둔 북한군을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빌어먹을”이란 수식어가 붙은 걸로 보아 그들 사이에도 뜨악함이 느껴진다. 김정은의 러시아 파병은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 첫 대규모 해외 파병이다. 북·러 조약에서 부활한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쉿 직업’과 6411의 목소리 [열린편집위원의 눈]‘불쉿 직업’과 6411의 목소리 [열린편집위원의 눈]장지연 |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경영기획실장 서울시는 지난달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20주년을 맞아 노선 개편을 포함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그에 앞서 한겨레는 52년간 경기 의정부~서울 종로를 잇던 106번 버스가 노선 조정으로 사라진 사안을 다루었다. 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드라마에도 나온 '눈 뜨게 하는 치료제'의 비밀드라마에도 나온 '눈 뜨게 하는 치료제'의 비밀[그 약이 알고 싶다] 한 번 치료받는 데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 달하는 유전자 치료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수현 의원 '한국관광공사, 의료대란 속 '외국인 환자' 대응 안일'박수현 의원 '한국관광공사, 의료대란 속 '외국인 환자' 대응 안일'2009년 의료법 개정 이후 '의료관광' 업무 주관 기관인 한국관광공사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료대란 속에 안일한 대응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은 15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관광공사(사장 직무대리 서영충)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대란에 제약업계 3분기 실적도 갈릴 듯의료대란에 제약업계 3분기 실적도 갈릴 듯(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제약업계에서 올해 3분기 주요 제품 판매 호조를 보인 기업은 실적이 크게 오르는 반면, 의료대란 영향으로 병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0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