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지연 |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경영기획실장 서울시는 지난달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20주년을 맞아 노선 개편을 포함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그에 앞서 한겨레는 52년간 경기 의정부~서울 종로를 잇던 106번 버스가 노선 조정으로 사라진 사안을 다루었다. 동
노동자들이 칼럼을 기고하는 ‘6411의 목소리’ 코너에서는 여성 대리운전 기사, 가사노동자, 예능 방송작가 등의 삶을 밖으로 드러낸다.서울시는 지난달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20주년을 맞아 노선 개편을 포함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그에 앞서 한겨레는 52년간 경기 의정부~서울 종로를 잇던 106번 버스가 노선 조정으로 사라진 사안을 다루었다. 동행취재 기사를 읽고 나니 매일 새벽 4시 첫차에 올라 일터로 향하는 이들의 고단함과 당황스러움이 여실히 느껴졌다. 서울시가 다음날 여러 데이터를 동원해 낸 해명자료를 보았지만, 기사를 통해 생생한 이미지를 갖게 된 나는 설득되지 않았다.
손쉬운 수치적 합리성과 그 뒤에 숨은 성장 기회에 편승하려는 결정이 쌓여 지금의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현상으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벗어나려면 누구나 어느 수준 이상 삶의 질을 동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하고 지켜주려는 관점이 더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구체적인 이야기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한겨레의 ‘6411의 목소리’ 코너를 좋아한다. 사람들이 어떻게 그 일을 하며 살아가는지 알 수 있고, 읽다 보면 작은 반전과 함께 기대하지 않은 재미를 주기도 한다. 경력단절 여성 약국 보조원, 학교 보안관, 봉제 소상공인 부부, 물류업 종사자, 마루 노동자 등 하나하나의 이야기는 누군가와 맑은 대화를 깊이 있게 나누었을 때 갖게 되는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나중에 이런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만나면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엉뚱한 계산도 작동한다.
6411의 목소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이들이 자신의 일이 중요하다는 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말한 ‘불쉿 직업’ 현상과 대비된다. 그레이버는 현대 사회에서 유급 고용직이지만 자기 일이 무의미하고 불필요하며 심지어 해롭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현상에 주목했다. 사람들은 일에서 스스로가 원인이 되지 못할 때, 감내할 만한 가치가 없는 고통을 받을 때, 자신이 해를 끼치고 있음을 알 때 비참함을 느끼고 불행해진다는 것이다. 그는 무의미한 불쉿 직업과 그저 힘든 직업을 구분해서 후자를 ‘쉿 직업’이라고 칭했는데, 쉿 직업 종사자들은 힘들게 일해야 한다는 바로 그 이유로 과소평가되거나 무례함의 대상이 되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이 유용한 일을 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6411의 목소리에는 자신들의 일이 쓸모없다는 기색이 없다.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잘 알지 못한다는 자신감의 상실은 공동의 미래를 그리는 데 큰 제약이 된다. 앞으로도 한겨레가 현장성 있는 취재와 좋은 기획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드러내고 연결해줄 것을 기대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파행적 문화행정과 ‘미인도’ 지키기 [6411의 목소리]이채원 | 협동조합 ‘고개엔마을’ 사무국장 서울시 성북구 미아리고개 하부에 있는 공간 ‘미인도’는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제안하고 가꿔온 공간이다. 이 공간에는 문화와 예술을 통해, 흩어진 삶을 모아 입체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함께 만들어가고자 하는 소망이 담겨 있다. 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열과 싸우는 도서관 [6411의 목소리]김주영 | 성북문화재단 도서관사업부장 “어쩌다 사과는 한개에 1만원이 되었을까?” 이 질문은 지난 3월 한 도서관 로비에서 진행된 주제 전시의 제목이다. 큰 부담 없이 사서 먹을 수 있었던 사과의 가격 상승 요인이 무엇인지 기후, 노동, 경제 등 다양한 관점에서 알아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파트 경비의 3개월짜리 계약서 [6411의 목소리]박영길(가명) | 아파트 경비노동자 내가 경비 일을 기쁘고 즐겁게 하려면 어찌 됐든 민원이 발생할 만한 상황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서 누가 엘리베이터 안에 오물이 있다며 빨리 치우라고 성화를 낸다고 쳐요. 그러면, 사과부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뒤틀린 몸’…나는 의료파업 생존자다 [6411의 목소리]문진영 | 대전여성장애인연대 활동가 나는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운 몸을 가졌다. 서류상 지체장애인이며, 지체장애 중에서도 하지장애인이다. 뇌병변장애인이기도 하다. 언어장애가 있으며, 온몸이 자연스럽게 이완되지 않고, 걷는 것도 위태로워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냥 쉬었음’ 표현의 이면 [열린편집위원의 눈]김지현 | 청년유니온 사무처장 ‘그냥 쉬는’ 청년이 7월 기준 역대 최대인 44만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때의 규모를 넘어섰다. 30대까지 포함하면 70만명이 넘는다. 특히나 지난달 한겨레가 보도한 ‘ 일도 취업 준비도 안 하는 ‘쉬었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권모 칼럼]민심과 싸우려는 ‘김건희 남편’ 대통령어찌보면 일종의 내부자인 명태균(김건희 여사가 “완전히 의지하는” 선생님)과 김대남(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의 공적(?)이 지대하다. 그들의 ‘미필적’ 토설이 아니었으면 용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