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이 살아 숨 쉬는 맛’…영국 요리사는 왜 사찰 두부에 반했나

대한민국 뉴스 뉴스

‘자연이 살아 숨 쉬는 맛’…영국 요리사는 왜 사찰 두부에 반했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79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5%
  • Publisher: 53%

두부는 서양에서 인기가 없다. 미국만 해도 1970년대 부실했던 채식의 상징처럼 떠올리는 이가 많다. 하지만 동양에선 얘기가 달라진다. 우리만 해도 두부를 찌고 삶고 굽는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먹는다. 중국도 마찬가지. 중국을 대표하는 음식에 마파두부가 있다. 전분을

입힌 연두부를 튀긴 후 간장 소스를 뿌려 먹는 일본 음식 ‘아게다시 도후’는 이젠 우리 식탁에도 오를 정도로 아시아 국가에선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서양인에게 두부 음식은 여전히 낯설고 생경하다.지난 5일 불가리아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하는 요리사 에밀 미네프는 서울 은평구에 있는 진관사에서 특별한 두부 요리를 맛봤다. 8월31일부터 8일간 백양사 천진암, 대전 영선사에 이어 서울 진관사를 방문하며 여러 종류의 사찰음식을 경험한 그다. 현란한 조리 기술, 화려한 접시, 푸아그라 같은 진귀한 식재료 등 서양 요리가 그간 추구해온 식문화 구축에 일조했던 그가 사찰음식에 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일까.프랑스 요리학교 ‘르 코르동 블뢰’의 런던 캠퍼스 학과장인 그는 8년 전 주영한국문화원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사찰음식이 등장해 서양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도 그들 중 한 명이었다.

“계호 스님께서 보여주신 자비와 지혜의 음식에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셰프들은 식재료를 그저 자유롭게 사용하려고 하지, 거기에 담긴 의미를 찾으려고 하지 않아요. 재료에 대한 존경이 제게 감동을 주는군요. 자연에 경의를 표하는 거로 보였죠. 재료가 곧 자연이니까요.” 미네프가 이날 진관사 두부 요리를 체험하고 한 말이다. 그는 이어 “오늘 스님께 배우는 동안 마치 아이가 된 것처럼 순수한 마음이 들었다”고도 말했다.조선시대 후기 조포사로 지정된 진관사는 두부와 인연이 깊은 절이다. 조포사는 왕실이나 국가 제사에 쓰이는 제수물품을 공급하던 절을 말한다. ‘조포사’의 ‘포’는 두부 포자다. 이름이 ‘조포’라고 해서 두부만 제공하는 건 아니었다. 당시 귀한 음식이었던 ‘두부’를 상징처럼 명칭에 넣은 것이다. 서울 봉은사, 봉국사, 흥천사와 수원 용주사, 여주 신륵사, 남양주 봉선사 등 35개 사찰이 조포사였다. 진관사는 다양한 사찰음식 강좌를 운영하는데, 그 중 ‘두부 만들기’도 있다.

납작한 증포엔 미나리로 꾸민 글자가 보였다. 영문 ‘Happy’. 그 사이에 꽃잎처럼 흩뿌려진 잣도 있었다. ‘해피’는 계호 스님이 미네프의 요리 삶이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글자다. 이어 미네프의 송편 빚기 도전이 이어졌다. “만두는 속을 먹고 송편은 겉은 먹는다고 하잖아요. 왼손에 딱 올려놓으시고, 이렇게 펴고 콩을 넣으면 됩니다.” 계호 스님의 친절한 설명에 미네프는 생전 처음 해보는 ‘송편 빚기’에 땀을 흘려가며 모양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스님이 마음에 안 드시는 거 같아요.” 미네프의 소심한 말에 이날 행사에 참여한 진관사 주지 스님인 법해 스님과 응성 스님, 선우 스님 등이 박장대소했다. 음식은 서로를 잇는다. 다름을 하나로 만든다. 타인을 이해하는 창구가 된다.계호 스님이 에밀 미네프에게 두부 요리 조리법을 알려주고 있다.

계호 스님과 미네프는 함께 맷돌에 콩도 갈았다. 사찰음식 체험은 진관사가 운영하는 한문화체험관에서 이어졌다. 외부 인사들이 공양하는 공간이다. 진관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아내 질 바이든 여사 등 수많은 국빈 방문객을 맞아 공양을 차렸다. 16가지가 넘는 공양이 미네프 일행을 기다렸다. 진관사 된장으로 맛을 낸 된장국은 콩 발효 시간을 담은 우아한 맛이었다. ‘참죽나물 부각’은 바삭바삭한 식감도 일품인데, 입에 넣으면 더 풍미가 그윽해 반하고 만다. 양념을 잘한 가지 요리는 부드러운 정도가 티라미수 같다. 잘 무친 여러 종류의 나물은 자연을 오롯이 담았다. 미네프는 계호 스님이 한 말을 새겼다. “욕심내는 마음과 성을 내는 마음을 음식에 담으면 안 됩니다. 내가 먹는 음식이 내 몸과 인격을 만들기 때문이죠.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몸이 완성됩니다. ‘마음을 담은 자연 음식’ ‘자연이 살아 숨 쉬는 맛’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진관사가 운영하는 한문화체험관에서 에밀 미네프가 맛을 본 감자 요리. 박미향 기자: 두부 1모, 표고버섯 4개, 당근 1/3개, 애호박 1/3개, 붉은 고추 3개, 간장 3T, 채수 3T, 조청 2T, 참깨, 참기름, 식용유④ 당근과 애호박을 잘게 썰어 볶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참으로 어디에나 있다, ‘나의 자리’에서 숨 쉬는 여성들참으로 어디에나 있다, ‘나의 자리’에서 숨 쉬는 여성들1999년 거제도의 한 오락실 앞. 펌프 위에서 두명의 남고생이 기량을 뽐내고 있다. 화려한 퍼포먼스가 끝나자 구경하고 있던 아이들이 박수를 친다. “거제 촌놈들, 뭐 귀신이라도 봤나. 부산서 이 정도는…(일도 아이지).” 거들먹거리며 스코어를 확인한 도시 청년들은 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딸이 어딘가에서 살아 숨 쉰다는 생각에 위안받죠'(종합)'딸이 어딘가에서 살아 숨 쉰다는 생각에 위안받죠'(종합)(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권지현 기자='생명이 다하는 순간에 생명을 나눠주는 일의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기증으로 누군가는 생명을 얻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2024 글로벌리포트 - K푸드 월드투어] '맛있게 매운 맛'에 매료된 오스트리아인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이 북향인 이유만해 한용운의 심우장이 북향인 이유서울 성북동은 우리 근현대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합니다. 세월의 흐름 속에 도시가 변해가는 현장을 눈으로 목격하지만, 제 모습을 고이 간직한 체 삶의 메시지를 전하는 곳입니다. 거기다 의 김광균 선생 등 이름만 들어도 가슴을 뛰게 하는 유명 문화예술인들이 살았던 곳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꼭 가고 싶었던 차팔라 호수, 직접 보니 공포스러웠다꼭 가고 싶었던 차팔라 호수, 직접 보니 공포스러웠다여행지를 선택할 때, 내가 대자연이 살아 숨 쉬는 나라를 1순위로 삼았던 이유는 뭘까. '언젠가 나중에 다시 가더라도 그 모습 그대로 있으리라'는 기대가 있어서다. 머리 복잡했던 퇴사 후, 오래 그려왔던 멕시코를 드디어 여행하고자 결정했을 때도 자연 친화적인 이 나라에서 꼭 가고 싶은 곳은 '호수'였다. 그리고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제칼럼]가짜뉴스에 취약한 중장년층[국제칼럼]가짜뉴스에 취약한 중장년층지난 7월29일, 영국 소도시 사우스포트의 한 어린이 댄스 교실에서 벌어진 흉기난동 사건이 영국 전역에서 대규모 반이민, 반무슬림 폭력 시위로 번졌다. SNS를 통해 용의자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4 19: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