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을 에너지 안보 상 주의를 요하는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닌 보안 관련 문제라고 외교부가 17일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미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 최하위 단계에 포함시킨 데 대해 '미 측을 접촉한 결과 이는 외교 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미국이 한국을 에너지 안보 상 주의를 요하는 민감국가 로 지정한 것은 외교정책 상 문제가 아닌 보안 관련 문제라고 외교부가 17일 밝혔다. 기존 예상처럼 국내에서 불거진 핵무장론 때문에 해당 조치가 이뤄진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읽힌다.
한국은 그간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민감국가에 포함된 이유를 미 측에 문의했고, 수일 동안 미 측은 이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지 않았다. 외교부는 다소 늦은 시각인 이날 오후 9시 3분 해당 입장을 출입기자단에 문자 메시지를 통해 공지했는데, 정치권을 중심으로 국내적으로 민감국가 지정 배경을 두고 다양한 억측이 난무하며 갈등이 증폭되는 양상을 보이자 미 측으로부터 공식적으로 경위를 파악한 즉시 이를 언론을 통해 알린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이어 “정부는 한·미간 과학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미 정부 관계기관들과 적극 협의 중이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에도 한국이 미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됐다가 미 측과의 협의를 통해 제외된 선례도 있다”면서다.
다만 한국의 핵무장론이 미국의 비확산 관련 우려를 키우는 측면이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미국이 공식적으로는 보안 상 이유를 댔을지 몰라도 해당 실제로는 한국의 책임있는 정치 지도자들이 공공연히 자체 핵 보유를 주장하는 기류 역시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한국, 연구협력 제한되는 민감국가”...정부는 두달간 까맣게 몰랐다美, 한국 ‘민감국가’ 1월 지정 정부, 두 달간 사실 파악 못해 계엄·탄핵에 리더십 부재 상황 과학계, 美와 원자력 협력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 두달간 몰랐던 정부…이유는 지금도 모른다[현장에서]미국이 지난 1월 초 과학기술 협력에 제한을 가하는 ‘민감국가 리스트(Sensitive Country ListㆍSCL)’에 동맹국인 한국을 포함한 사실을 공식 확인해 정치ㆍ외교ㆍ경제ㆍ과학기술 등 여러 영역별로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14일(현지시간) 한국의 민감국가 포함 여부에 대한 중앙일보 질의에 '전임 (조 바이든) 정부는 1월 초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Other Designated Country)’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 두달간 깜깜이, 한심한 정부 [사설]미국 에너지부(DOE)가 지난 1월 초 한국을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했다는 사실을 정부가 두 달이 넘도록 몰랐다고 한다.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핵무기 개발 우려가 있는 나라가 민감국가로 지정된다는 점에서 핵무기가 없는 동맹인 한국이 지정된 것은 그 자체로 충격이다. 외교 당국은 이를 막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두 달간 '깜깜이' 상태였다고 하니 그 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에 韓 추가 파장…핵무장론·비상계엄 등 원인 해석 분분美 “바이든때 민감국가 최하위 범주 韓 추가” “과학·기술협력 금지 아니다”지만 파장 촉각 정부, 두달간 ‘깜깜이’…부랴부랴 “美와 협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두 달 넘게 몰랐던 ‘민감국가’ 지정, 한·미 소통 문제 없나미국 에너지부(DOE)가 지난 1월 초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한국을 처음 포함한 사실이 공식 확인돼 파문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 SCL 중에서 불이익이 가장 적다는 ‘최하위 범주’에 포함됐다지만, 미국의 동맹인 한국이 사상 처음 SCL에 들어간 사실만으로도 충격적이다. 미국 에너지부는 민감국가 지정 사유를 정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국내 정치 불안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만큼 여야 모두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미 ‘민감국가’ 분류 이유는 연구소 보안 문제”…구체적 내용은 통보 못 받은 듯정부는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민감국가·SCL)’에 포함하려는 배경은 산하 연구소의 보안 관련 문제 때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