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0세인 1995년생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65세에 받을 연금액은 현재 가치로 80만원 수준에 그친다는 예측이 나왔다. 26일 ...
올해 30세인 1995년생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65세에 받을 연금액은 현재 가치로 80만원 수준에 그친다는 예측이 나왔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현 제도에 따른 05년생, 95년생, 85년생 월별 연금수령액 변화’ 자료를 보면, 월급 300만원을 받는 1995년생이 26년간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고 수급 개시연령인 65세가 되는 2060년에 받는 월 연급액은 304만원이다. 이는 현행 국민연금 제도인 보험료율 9%와 소득대체율 40%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코호트별 가입률, 납부율 등 실적치를 기반으로 복지부가 계산한 결과다. 제도·환경·가입 행태 변화 등에 따라 실제 가입기간은 변경될 수 있다.월 연금액 304만원에 임금 상승률 3.77%을 반영한 현재 가치는 월 80만2000원에 불과하다. 임금 상승률을 감안할 때 1995년생이 75세인 2070년에 받을 월 연금액은 67만5000원, 85세인 2080년에는 56만9000원으로 쪼그라든다.2005년생이 받을 연금액도 비슷한 수준이다. 월급 300만원을 받는 2005년생이 27년간 보험금을 납부하고 65세가 되는 2070년에 받게 될 월 연금액은 445만2000원이다. 여기에 임금 상승률을 반영해 따져보면, 해당 연금액의 현재 가치는 81만2000원이다. 75세에는 68만3000원, 85세가 되면 57만5000원을 받는다.
1985년생의 경우 65세가 되는 2050년에 월 207만9000원을 받는데,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79만4000원이다. 75세에는 66만9000원, 85세 56만3000원을 받는다.복지부는“매년 연금액은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 인상되지만, 추계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임금상승률로 할인함에 따라 현재 가치는 대폭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월급 300만원 30세, 국민연금 예상액 80만원…최소생활비의 59%(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올해 30세인 1995년생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65세에 도달해 받을 연금액은 현재 가치로 80만원 수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 '月 300만원' 수급자 처음 나왔다…제도 도입 37년만(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국민연금을 매달 300만원 이상 받는 사람이 처음으로 나왔다. 1988년 국민연금제도가 도입된 지 37년 만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연금, 37년 만에 300만원 이상 수급자 최초 발생국민연금 제도 도입 37년 만에 최초로 국민연금을 매달 300만원 이상 받는 수급자가 생겨 주목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급 초임 월급 269만→300만원”…공무원 처우 개선인사혁신처는 23일 초임 공무원 월급을 30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공무원 보수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5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인사처는 현재 269만원인 9급 초임 공무원의 월 보수(수당 포함)를 2027년까지 30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올리기로 했다. 경찰·소방 공무원의 위험 근무수당을 인상하고 악성 민원 증가에 따른 업무 고충을 고려해 민원 업무 수당 가산금을 신설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직시험 인기 부활할까…9급 공무원 월급, 269만→300만원 인상인사혁신처는 23일 초임 공무원 월급을 30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공무원 보수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5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인사처는 현재 269만원인 9급 초임 공무원의 월 보수(수당 포함)를 2027년까지 30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올린다고 했다. 위험 업무나 민원 업무에 대한 보상도 확대한다. 경찰·소방 공무원의 위험 근무수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3월의 월급’ 챙겨라…신혼부부, 생애 딱 한번 100만원 더 받을 수 있어의료비 세액공제는 만 6세 이하 자녀에 한해 공제 한도를 없앴다. 월세 세액공제는 지난해까지 총급여 7000만원(종합소득금액 6000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줬지만, 올해는 총급여 8000만원으로 기준을 올렸다. 구체적으로 2024년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 금액이 2023년보다 5%를 초과해 늘었다면 증가한 금액의 10%를 소득공제(100만원 한도)해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