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민감국가·SCL)에 추가한 것을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추가한 것을 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유력 대권후보라고 하니 민감국가로 지정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 진영에서 주도한 자체 핵무장론이 지정 원인이라는 분석이 쏟아지자 이 대표 책임론을 꺼내며 사태 원인을 정치쟁점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탄핵된 상황에서 권한대행까지 탄핵하고 친중 반미 노선의 이재명과 민주당이 국정을 장악한 게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혹시라도 이 대표가 정권을 잡으면 한·미 동맹에 금이 가면서 대한민국의 외교적 신뢰는 땅에 떨어지고 우리나라의 경제·안보적 위상이 급격히 추락할 수밖에 없다”며 “대한민국이 민감국가가 아니라 위험국가로 지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거대 야당의 탄핵 폭주로 우리 정부 인사는 언제, 어디서, 누가 직무정지를 당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이런 대혼돈 속에서 미국을 비롯한 우방 국가들은 대한민국의 누구와 함께 민감한 문제를 다뤄야 할지 가늠이나 하겠나”라며 야당을 비판했다.
그는 “이처럼 거대 야당이 가져온 정치적 혼란이 외교안보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며 “급한 불부터 끄는 방법은 먼저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을 하루빨리 기각시키는 것이다. 한 총리가 돌아와 당장 국방부 장관부터 임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직자 연수에 참석한 뒤 ‘여권의 핵무장론과 계엄 사태가 민감국가 지정에 영향을 미친 게 아니냐’는 취재진 질문에 “일각에선 그게 아니라 12·3 비상계엄과 탄핵소추로 인해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르는 집권에 대비해 민주당을 불신한 미국이 민감국가로 지정했다는 설도 있다”며 “확실한 건 미국 측과 만나 얘기해봐야 아는 문제”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한국, 연구협력 제한되는 민감국가”...정부는 두달간 까맣게 몰랐다美, 한국 ‘민감국가’ 1월 지정 정부, 두 달간 사실 파악 못해 계엄·탄핵에 리더십 부재 상황 과학계, 美와 원자력 협력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한국 ‘민감국가’ 지정, 한·미 동맹 신뢰 깬 윤석열 책임미국이 원자력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 협력을 제한할 수 있는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 리스트’에 한국을 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스분석] 미국, 한국 ‘민감국가’ 지정···“핵무장” 분출, 윤 정부에 ‘경고장’ 보낸 것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한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미국의 핵우산 정책에도 한국 내 핵무장론이 확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감국가 지정, 보수 권력 핵무장론·계엄이 부른 ‘외교 대참사’미국 정부가 원자력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추가했다고 공식 확인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미국이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데는 윤석열 정부 들어 한국 보수진영에 확산된 ‘핵무장론’과 윤 대통령의 12·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 두달간 깜깜이, 한심한 정부 [사설]미국 에너지부(DOE)가 지난 1월 초 한국을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했다는 사실을 정부가 두 달이 넘도록 몰랐다고 한다.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핵무기 개발 우려가 있는 나라가 민감국가로 지정된다는 점에서 핵무기가 없는 동맹인 한국이 지정된 것은 그 자체로 충격이다. 외교 당국은 이를 막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두 달간 '깜깜이' 상태였다고 하니 그 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태년 “민감국가 지정, 4월 15일까지 해제시켜야”“민감국가 지정은 사실상 한미동맹 균열” 지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