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원자력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추가했다고 공식 확인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미국이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데는 윤석열 정부 들어 한국 보수진영에 확산된 ‘핵무장론’과 윤 대통령의 12·3
미국 정부가 원자력과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추가했다고 공식 확인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미국이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데는 윤석열 정부 들어 한국 보수진영에 확산된 ‘핵무장론’과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가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에너지부 대변인은 14일 “에너지부는 광범위한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전 정부가 2025년 1월 초 한국을 이 가운데 가장 낮은 단계인 ‘기타 지정 국가'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정보기구인 정보방첩국이 지정하고 관리하는 민감국가는 단계에 따라 ‘기타 지정국가’ ‘위험국가’ ‘테러지원 국가’로 구분되는데 한국이 여기에 포함된 것은 처음이다. 미국 에너지부는 어떤 이유로 한국을 명단에 추가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바이든 행정부 말기인 1월초에 이번 조처가 결정되었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로이터통신’은 한국에서 핵무기를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고 15일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2023년 1월 “대한민국이 전술핵을 배치한다든지 자체 핵을 보유할 수도 있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 이후 한국 내 핵무장론을 계속 주시해왔다. 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한미 핵협의그룹을 구성해 북핵 위협에 함께 대응하기로 하고 소형모듈원자로 협력도 추진하면서 한국이 비핵화 원칙을 준수하도록 했다.하지만 2024년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 한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핵무장을 허용할 것’이라며 보수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핵무장론, 핵자강론 목소리가 급속도로 확산됐다.
군비통제협회의 대릴 킴볼 사무총장은 ‘로이터’에 “ 도발적인 발언들을 고려하면 한국은 핵확산 위험이 있고, 에너지부는 신중하게 한국을 명단에 올렸다”며 “한국을 핵확산 민감국가로 올리게 되면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우라늄 농축이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승인을 받을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게 된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지정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도 이를 뒤집지 않고 시행하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이번 조처로 한미 원자력·첨단기술 협력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에너지부 대변인은 “목록에 포함됐다고 해서 반드시 미국과 적대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지정국 가운데는 에너지, 과학, 기술, 테러방지, 비확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기적으로 협력하는 국가들도 포함돼 있다”며 한국의 우려를 달래려 했다.
하지만 테러지원국이자 불법 핵무기 개발국인 북한과 한국이 민감국가로서 유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은 한미동맹과 한국의 위상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위성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약한 단계의 제약이 시작된 것도 심각한 문제다. 동맹을 명단에 넣었다는 것 자체가 한국에는 큰 여파를 미칠 것”이라고 짚었다. 위 의원은 “미국 정보당국이 수개월 동안 검토해서 취한 조치라서 되돌리기도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현장에서도 민감국가 지정에 따른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민감국가 출신 연구자들은 미 에너지부 소속 연구소와 연구 프로그램, 정보에 접근하려면 특별 승인을 받아야 하고 “방문과 협력은 사전에 내부 검토를 거친다”고 규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미, ‘핵무장론’ 한국 ‘민감국가’ 분류…AI 등 협력 제한하나미국의 에너지 정책과 원자력 연구·개발 및 군 핵무기 프로그램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rty)로 분류해 규제하는 조치에 착수한 것으로 9일 한겨레 취재 결과 확인됐다. 민감국가로 분류되면 원자력·인공지능(A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에 韓 추가 파장…핵무장론·비상계엄 등 원인 해석 분분美 “바이든때 민감국가 최하위 범주 韓 추가” “과학·기술협력 금지 아니다”지만 파장 촉각 정부, 두달간 ‘깜깜이’…부랴부랴 “美와 협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에…與 '탄핵 남발 탓' 野 '계엄·핵무장론 탓'더불어민주당은 16일 '민감국가 지정은 무능한 윤석열 대통령 집권의 결과이자 12ㆍ3 내란의 후과'라고 주장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이 '한ㆍ미동맹이 최초로 다운그레이드(downgrade)된 것'이라며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정부가) 미국 측 전화도 안 받고, 친위 쿠데타를 위해서 동맹을 버린 외교 참사의 결과다.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분명한 것은 집권 내내 윤석열이 겁 없이 떠들었던 핵무장론과 위헌적 12ㆍ3 내란이 결정적 빌미를 제공했다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입을 다물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감국가 지정 몰랐던 정부…탄핵정국 속 한미소통 '삐걱' 노출(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미국이 지난 1월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될 수도 있는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을 추가했다는 사실을 14일(현지시간) 확인하면서 정부의 늑장 대응에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민감국가 목록에 한국이 포함됐다는 이야기가 나온 지난 10일 정부의 첫 반응이 '관계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 두달간 몰랐던 정부…이유는 지금도 모른다[현장에서]미국이 지난 1월 초 과학기술 협력에 제한을 가하는 ‘민감국가 리스트(Sensitive Country ListㆍSCL)’에 동맹국인 한국을 포함한 사실을 공식 확인해 정치ㆍ외교ㆍ경제ㆍ과학기술 등 여러 영역별로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14일(현지시간) 한국의 민감국가 포함 여부에 대한 중앙일보 질의에 '전임 (조 바이든) 정부는 1월 초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Other Designated Country)’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움직임…외교력으로 막아야그런 만큼 한국을 민감국가로 거론하는 것 자체가 처음이다. 아직 미국의 공식 발표가 나온 건 아니지만, DOE가 산하 국책 연구기관에 다음 달 15일부터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라는 지침을 내린다고 하니 당혹스럽다. 그럼에도 미국이 한국을 향해 강경 카드를 꺼내든 건 북한의 핵 위협에 맞서 한국의 독자적인 핵무장이나 잠재적 핵 능력 보유 주장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