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17일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를 열어 국내 반도체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김주성 기자=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원이 소위원장이 반도체법, 에너지3법 등 안건을 상정하고 있다. 2025.2.17 [email protected]여야 의원들이 발의한 반도체법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각국이 반도체 산업 패권을 놓고 첨예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여야도 반도체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내용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여당은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이 주52시간 근로제에 묶여 있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 날로 약화하고 있으므로 특별법에 이 규정을 담아서 통과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반도체 52시간제 예외 문제에 대해 기업 측 요구를 수용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다가, 다시 반도체법에서 이 문제는 다루지 않는 쪽으로 무게를 두는 것에 대해 '오락가락' 행보라며 비판하고 있다.반도체법에 이 예외조항을 신설할 경우 다른 전략 산업 분야도 같은 요구를 할 수 있고, 이는 결국 근로기준법상 주52시간 규정을 유명무실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산업위 구성 상 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이 과반을 차지하지만, 산업위원장,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장이 모두 국민의힘 소속인 만큼 52시간 예외조항을 뺀 내용의 반도체법은 쉽사리 통과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여당이 '52시간 예외를 담지 않은 반도체 특별법'을 반대할 경우, 이를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이 법안들은 여야 간 이견이 대부분 해소된 만큼 이날 소위를 통과해 오는 19일 전체회의에 오를 전망이다.해상풍력특별법은 풍력 사업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해 풍력발전 보급을 확대하는 내용이다. 고준위방폐장법은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의 영구 처분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법안 미비로 위험도가 높은 고준위 원전 폐기물이 여전히 임시 저장시설에 보관되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상속세법 개정안 논의 급물살…이달 국회 기재위 논의 재개기재위 18일 현안질의 열고 논의 상속세 공제한도 완화 여야 공감대 완화 규모 등 놓고 의견조율 오갈듯 반도체법 52시간 놓고는 이견 여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경·반도체법·연금개혁…합의한 듯 합의 못한 여야 2월 국회야당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여당이 반대하는 민생지원금을 제외한 추경 논의에도 응할 수 있다'고 밝힌 뒤부터 2월 국회의 1순위 과제로 추경을 벼르고 있다. 하지만 여당이 추경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반도체 특별법-연금개혁안을 합의 처리한 뒤에 추경을 논의할 수 있다는 ‘지렛대 전략’을 고수하며 협상에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주 52시간 특례조항이 포함된 반도체 특별법의 2월 국회 내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이번 주 중 건설업계 안정 대책 발표건설업계 줄도산 막기 위한 대책 발표, DSR 규제 완화 논의 중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52시간 예외’가 반도체법 핵심인데, 이를 빼자는 민주당앞서 이재명 대표는 국회 토론회에서 '몰아서 일하게 해주자는 게 왜 안 되느냐고 하니 할 말이 없더라'며 반도체 연구개발(R&D) 종사자에 대한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 예외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바 있다. 하지만 결국 민주당은 주 52시간 문제를 뺀 채 반도체법을 처리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5선인 이인영 의원은 '몰아서 일하기가 왜 안 되느냐고 하는 것은 민주당의 노동가치에 반하는 주장'이라며 '단순한 우클릭은 오답'이라고 이 대표를 직격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반도체법 토론회서 '고소득 연구개발자 주 52시간 예외' 제안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반도체특별법 토론회에서 연봉 1억3000만원 이상 고소득 연구개발자에 한정해 주 52시간제를 완화하는 대안을 제시하며 노동계의 반대를 뚫고 반도체 기업의 요청을 일부 수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연구개발 직군 전체에 대한 예외 적용에는 선을 그었고, 영구적 적용이 아닌 한시적 실험을 제안하는 절충안을 역제안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앞장서자 정성호·박지원도 “반도체법 52시간 예외 담자”정성호(5선)의원은 4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위기인데 국가가 어떤 형태로든 지원해야 한다'며 '(52시간 예외 조항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박지원(5선)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주 52시간제에 저는 처음부터 탄력적 적용을 주장했다'며 '(반도체 종사자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 등 혁신을 해야) 한국에도 제2의 딥시크(DeepSeek·중국의 인공지능 기업)가 탄생한다'고 적었다. 실제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반도체특별법에 52시간 예외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법안에서) 52시간제를 빼고 2월 중에 먼저 처리하자'고 맞섰다고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