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세화(1947~2024)를 세상에 알린 (1995)에서 개똥 세 개 이야기를 처음 접했을 때 솔직히 그렇게 와닿지는 않았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이야기는 그가 어린 시절 외할아버지에게 들은 일화에서 비롯됐다. 서당 선생이 3형제에게 장래희망을 묻는다. 서당 선생은 ‘정승’이 되겠다는 맏이, ‘장군’이 되겠다는 둘째를 칭찬하며 막내를 쳐다본다. 막내는 장래희망을 말하는 대신 ‘저보다 글 읽기를 싫어하는 큰형에게 개똥 세 개 중 하나를, 저보다 겁이 많은 둘째 형에게 개똥 하나를 입에 넣어주고 싶다’고 한다. 마지막 개똥은? ‘당연히 서당 선생에게’라고 답한다. 할아버지는 ‘살아가며 세번째 개똥이 서당 선생 몫이란 말을 하지 못하게 될 때, 그때는 네가 그 세번째 똥을 먹어야 한다’고 했고, 어린 홍세화는 수긍했다.
군사독재 박해를 피해 프랑스에 망명했다가 23년 만에 고국땅을 밟았을 때 그는 55세였다. 요즘 기준으로 ‘서오남’이었지만 그가 발 디딘 곳은 전혀 달랐다. ‘다름을 차별과 억압의 근거로 삼아선 안 된다’는 다소 온건한 얘기를 하던 그의 목소리는 갈수록 급진화됐다. 많은 이들이 돈의 노예가 됐고 가지지 못한 이들의 비참함이 극에 달한 한국 현실을 겪으면서다. 그는 언론인으로 몸담으며 작년까지 글을 썼던 한겨레를 향해 ‘프티부르주아 신문’이란 쓴소리도 주저하지 않았다. 말에 그치지 않았다. 징역형보다 가벼운 벌금형을 선고받고도 가난하기 때문에 다시 교도소에 갇히는 사람들과 연대하고 그 부조리함을 고발하고자 장발장은행을 만들기도 했다.
홍세화는 부단한 저술·번역과 활동을 통해 불온한 사상을 퍼뜨리며 기성체제와 불화하고, 동시에 약자와 연대하는 삶을 살았다. 그가 ‘가장자리’를 자처하며 어려운 길만 걸었던 건, 자신이 난민과 이주노동자로서 살았던 경험을 잊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저승에서 “할아버지, 그래도 개똥을 적게 먹으려고 무척 애썼어요”라고 말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공부하며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려 했던 학습협동조합 이름처럼 ‘소박한 자유인’이었던 홍 선생님, 이제 편히 잠드시길.2011년 여름 어느 날 희망버스가 당도한 부산 영도 한진중공업 담벼락 밖 집회 현장에서 홍세화 ‘말과 활’ 발행인을 본 적이 있다. 그는 중앙무대 뒷발치에서 홀로 행..."최순실게이트는 대한민국이 사적소유물이라는 점을 오롯이 드러낸다"https://www.khan.co.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홍세화 선생은 모든 것을 품은 '무지개'였다홍세화 선생 시민사회 추모제 김찬휘 추도사... '소박한 자유인이 됩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말보다 삶으로 행한... '자유'에 진심이던 어른, 홍세화[서평] 홍세화 에세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꾸벅꾸벅 졸던 아이들, 홍세화 선생의 잊지 못할 한마디그의 삶이 교사인 내게 미친 영향... 영원한 스승, 홍세화 선생님 영면하소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화국' 시민의 모범을 보인 '똘레랑스' 전도사 홍세화홍세화 선생님이 대한민국 사회에 남긴 자취와 흔적은 깊고도 넓다. 무엇보다 공화국 시민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실천한 모습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벌금조차 내기 힘든 경제 약자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장발장 은행을 운영했다. 공동체에서 소외돼 주변으로 밀려난 경제사회 약자들에게 앞서 손을 내밀었다. 흡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홍세화 선생님 영전에... '겸손 앞에서도 겸손하겠습니다'[추모시] 당신의 고난에 빚지며... 한국 근대가 조금은 부끄럽지 않던 때가 있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쓴 홍세화 장발장 은행장 별세로 한국에 잘 알려진 대중작가이자 지식인, 사회운동가인 홍세화 장발장 은행장이 18일 별세했다. 향년 77세. 그가 고문을 맡았던 노동당과 그의 지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