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잊어서 미안해, 여전히 기억해” 7만9천개 세월호 편지

대한민국 뉴스 뉴스

“가끔 잊어서 미안해, 여전히 기억해” 7만9천개 세월호 편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고3 때 이 사건을 듣고 얼마나 놀라고 세상이 무너졌는지. 그 뒤로 나는 꼭 믿을 만한 어른이 되고 싶었는데 그렇게 되었는지 잘 모르겠다. 가끔 잊어버려서 미안해. 하지만 여전히 기억해. 내가 좋은 어른이 되도록 항상 노력할게. 지켜봐 줘.”

“참사 후 엄마가 돼 희생자 부모 마음 이해하게 돼” 4·16연대가 세월호 참사 8주기를 맞아 마련한 추모공간인 ‘온라인 기억관’에 올라온 시민들의 추모글. 누리집 갈무리 “세월호도 제가 태어날 때 있던 일이네요. 그땐 알지 못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304명의 형, 누나들을 기억합니다. 아직도 발견되지 못하고 추운 바다에서 식어가고 있는 형, 누나들을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네요. 그러니 더 잊으면 안 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4일 오전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가 마련한 온라인 추모공간인 ‘온라인 기억관’에 올라온 글들이다. 4·16연대는 세월호 참사 8주기를 앞두고 세월호 참사를 추모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참여 프로그램을 마련했는데 추모관은 그중에 하나다. 이날 낮 12시 기준 7만9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여했다. 추모글을 남긴 시민 중 많은 이들은 참사가 일어났을 당시 자신의 상황을 돌아보며 벌써 8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는 사실을 되새겼다.

한 시민은 “벌써 8년이나 시간이 흘렀고 또 시간은 흐르겠지만 잊히지 않는 그 날 4월16일. 이날이 다가오면 항상 마음이 무겁다”며 “그때는 어렸는데 지금은 엄마가 된 나는 이제서야 동생들, 부모님의 마음을 아주 정말 조금 이해한다”고 적었다. 다른 시민은 “2014년 4월16일은 제 뱃속 아이가 태어나기 한 달 전 즈음이었고 아빠를 하늘나라로 보낸 지 두 달쯤 지났을 때였다”며 “지금은 9살이 된 아이도 노란 리본과 배지를 가방에 늘 달고 다닌다. 안전한 사회를 아이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는 꼭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밝혀내야 한다”고 적었다. 4·16연대는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세월호 참사를 추모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카카오톡 프로필 편집 메뉴에서 스티커 버튼을 눌러 프로필을 노란 리본과 종이배, 고래 스티커 등으로 꾸미도록 했으며,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에스엔에스에 올릴 수 있는 노란 리본 그림을 4·16연대 누리집에 올려뒀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세월호 기억 대표성 416 김성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세월호 기억 대표성 416 김성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액 현상금 걸면 바로 잡힌다' 표창원이 분석한 계곡 살인'거액 현상금 걸면 바로 잡힌다' 표창원이 분석한 계곡 살인프로파일러 표창원은 '조력자의 배신을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표창원 계곡살인 이은해 조현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결혼 15년 만에 혼자 여행갔더니... 쏟아지는 카톡결혼 15년 만에 혼자 여행갔더니... 쏟아지는 카톡걱정일랑 접어두고 떠난 2박 3일 제주도... 반가운 가족이 좋아서 가끔 떠나야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당선인님, 여가부는 있어야 합니다”…이용수 할머니가 꾹 눌러쓴 말“당선인님, 여가부는 있어야 합니다”…이용수 할머니가 꾹 눌러쓴 말이 할머니는 한겨레에 “여가부는 친정 같은 곳”이라며 “할머니들이 의지할 곳은 (부처 중) 여가부밖에 없다. 직원들뿐 아니라 장관도 꾸준히 연락이 온다. 할머니들을 잊지 않고 신경 써준다는 것 자체가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9: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