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 사건을 24일 기각했다. 지난해 12월2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됐던 한 총리는 87일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에 복귀했다. 헌재는 이날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 탄핵 사건 선고기일을 열어 재판관 5(기각) 대 3(인용 1, 각하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 날인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심판정에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착석해 있다. 공동취재사진헌재는 이날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 탄핵 사건 선고기일을 열어 재판관 5 대 3 의견으로 기각 결정했다. 앞서 한 총리의 탄핵소추 사유는 총리 시절 △‘채상병·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대통령 재의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고 △12·3 비상계엄 사태에 적극 가담했고 △계엄 직후 당·정 공동 국정운영 구상을 밝혔으며, 대통령 권한대행 때에는 △‘내란 상설특검’ 후보 추천 의뢰를 방기하고 △헌법재판관 임명을 거부했다는 점이었다.
헌재의 기각 의견 5명 중 4명은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국회에서 선출된 헌법재판관 3명 임명을 거부한 건 ‘위헌’으로 판단하면서도 파면할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이들은 “한 총리는 당시 국회로부터 재판관 선출 통지를 받기도 전에 국무회의나 담화문 등을 통해 여야의 합의를 전제로 재판관을 임명하겠다는 취지로 발언하는 등 국회가 선출한 3인을 재판관으로 임명하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미리 종국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헌법상의 구체적 작위의무를 위반했다”면서도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의 역할과 범위 등에 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나머지 탄핵소추 사유에서도 헌법을 위반한 사실이 없다고 판단했다. 김복형 재판관은 기각 의견을 냈지만 한 총리의 재판관 불임명을 위헌으로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은 대통령 권한대행을 탄핵소추하려면 대통령과 같은 의결정족수가 필요한데 국회가 일반정족수 요건으로 한 총리를 탄핵소추했다며 각하 의견을 냈다. 하지만 다수의견은 “공직의 박탈을 통해 헌법을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심판 제도의 취지를 종합하면,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는 국무총리 탄핵소추에는 본래의 신분상 지위에 따라 의결정족수를 적용함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野 탄핵 9전 9패…한덕수 대행 탄핵 기각, 87일 만에 업무복귀헌재, 기각 5·각하 2·인용 1 “파면할 중대사유 없어” 기각 韓대행 “안정적인 국정 운영에 전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복귀해도 괜찮나[이충재의 인사이트] 헌재, 한 총리 탄핵 기각 전망 속 시점도 촉각...복귀 시 조기 대선 공정 관리에도 의구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탄핵 기각됐지만 비상계엄 판단은 없어...尹 대통령 탄핵심판 향방은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안 기각 비상계엄 공모 관련 “객관적 자료 없어” 헌재, 국무회의 위법성 판단은 하지 않아 尹 선고일, 28일 가능성 높아...아직 미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탄핵 기각…헌재 “재판관 불임명 위헌이나 중대하진 않아” [영상]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사건을 24일 기각했다. 헌재 결정에 따라 한 총리는 곧바로 총리직에 복귀한다. 헌재는 이날 오전 10시 헌재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 탄핵사건 선고기일을 열어 재판관 5(기각)대 3(인용1·각하2) 의견으로 이렇게 결정했다. 헌재는 우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복귀 한덕수’ 국정 안정 주력하고 마은혁 재판관 임명하라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으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했다. 지난해 12월27일 국회에서 탄핵소추한 지 87...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심판 8대0 ‘줄 기각’…尹 심판에 변수되나헌재 8명 전원일치 기각 결정 현정부 들어 13건 중 8건 기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