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기의 뉴스 비틀기] 조직적으로 자행되는 성소수자 혐오
기록노동자 희정이 쓴 논픽션 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2030' 성소수자 노동자 20명을 인터뷰한 책에서 이들은 직장에서 불이익을 겪지 않기 위해 '패싱'이라는 전략을 쓴다. '패싱'이란 '어떤 사람을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으로 여기게끔 외양과 행동을 위장하는 일'이다. 한마디로 퀴어로서는, 이성애 규범의 사회에서 '평범'한 척, 행세하는 일이다.퀴어축제 관련 행사가 서울시에 네 번이나 거푸 거부당했다. 3월에는 퀴어퍼레이드를 위한 서울광장 사용 불허, 4월에는 기념강연회 대관 신청 반려, 토론회 대관 취소, 강연회 장소 대관 불허가 이어졌다. 한편 '학생이 성적 지향과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차별받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학생인권조례는 충남과 서울에서 연이어 폐지됐다.
▲ 서울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지난 4월 15일"시민청으로부터 '퀴어문화축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문화의 힘' 토론회의 대관을 취소당했다"라고 밝혔다. ⓒ 서울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학교는 일찍이 주변의 성소수자를 지우고, 혐오를 학습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청소년 트랜스젠더 8명을 인터뷰한 책 는 대한민국의 학교가 만드는 성별 이분법의 세계를 적나라하게 그린다. 한국의 청소년들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남녀학교, 남녀분반, 남녀교복을 맞닥뜨린다. 정상성의 범주에서 비껴난 청소년 트랜스젠더들은 필사적으로 자신을 숨기거나, 혹은 분투하다 지쳐 학교를 떠난다."예를 들어, 우리 아이들이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계급 차별, 동성애 혐오, 자기혐오의 교훈을 배우는 곳은 어디입니까? 우리 학교들은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습니까?"이를 바로잡아야 할 행정 당국은 오히려 혐오를 재생산한다.
서울시의 행보는 공적 기관의 조처라는 점에서 더욱 문제적이다. 이는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는 주체를 '반동성애'를 표방하는 세력 대신 퀴어축제 조직위로 낙인 찍는 불합리를 낳는다. 이에 조직위는 답했다.급기야는 퀴어를 '권력을 가진 다수'로 일컫고 '반 동성애 세력' 스스로를 소수자로 위치짓는 프레임마저 생겨났다. 보수 기독교계에서 자주 쓰는 표현 가운데 '성 독재'가 있다. 일련의 성소수자들로 말미암아"자유민주주의의 기초인 양심과 신앙에 따라 반대할 자유를 박탈하는 성 독재"가 자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전방위적인 '퀴어 지우기'는 더욱 성업 중이다. 교육부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성소수자' 등의 용어를 삭제하고, 서울‧대구 등 지자체 차원에서 퀴어축제를 방해하자 보수 학부모 단체, 기독교계 같은 조직된 소수의 힘은 더욱 가시화된다. 퀴어의 비가시화와 혐오 세력의 가시화 사이, 차별금지법 입법을 추진해야 할 국회의원들은 점점 더 퀴어들의 삶과 멀어져 간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선생님은 남자예요, 여자예요?'란 학생 질문... 둘 다 아니에요'[나, 성소수자 노동자 ①] 저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젠더퀴어 노동자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백호기 응원서 인권침해' 주장 학생 '자퇴'... '제보 후 따돌림'응원 연습 강압 문제 공론화한 고교생 "학교에서 교사, 학생들로부터 따돌림 당해" 주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젠 학교에서 손톱 깎는 법을 배웁니다[류승연의 특수교육 A to Z] 특수교육 안으로 들어온 일상생활활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교에서 지금 당장 바꾸어야 할 것 세 가지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여기서 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예전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가리키는 말로 한정하고자 한다. 30년 넘게 교직에 있다가 퇴직했지만 일반계 고등학교가 아닌 곳에 근무한 적이 없어서이다.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가르치기'이다. 여기에 '평가하기'와 '기록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짜배기' 전통활쏘기 하고 싶다? 각궁이 있습니다[활 배웁니다 9] 내 몸에 맞춰진 활, 복잡해서 더 재미있는 과정... 각궁의 매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개두릅이 무섭게 자라나고 있습니다, 구경 오세요4월 20·21일 강릉 사천면 해살이마을 개두릅축제... 가족 단위 체험프로그램도 운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