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관계자는 '중장년을 위한 일자리 연령 상한선을 65세에서 67세로 늘려 달라는 제안에 아예 상한선을 없애기로 했다'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건설, 주거정비 분야 등에 초점을 둔 종전 규제 철폐안과 달리 이번 안은 시민 생활과 직결돼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형 일자리는 이달 초부터 참여자를 모집해 추가 결원이 발생하면 연령 상한 폐지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중장년을 위한 서울시의 매력일자리 연령제한 이 폐지된다.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40세 이상부터 65세 미만을 대상으로 했던 일자리 연령 상한을 없애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규제철폐안 7ㆍ8호를 21일 발표했다. 규제철폐안 7호인 일자리 상한선 폐지는 지난 14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규제풀어 민생살리기 대토론회’에서 나온 시민 제안을 즉각 반영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중장년을 위한 일자리 연령 상한선을 65세에서 67세로 늘려 달라는 제안에 아예 상한선을 없애기로 했다”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건설, 주거정비 분야 등에 초점을 둔 종전 규제 철폐안과 달리 이번 안은 시민 생활과 직결돼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매력일자리는 일 경험과 직무교육을 통해 취업역량을 키울 수 있는 취업 디딤돌 일자리 사업이다. 지난해 중장년 참여자는 1019명이다. 시급 1만1436원을 적용해 풀타임 또는 파트타임으로 최대 18개월가량 근무할 수 있다. 서울대공원 식물 해설사, 직업 상담사, 1인 가구 마음돌봄 상담사, 아동복지사, 도서관 운영지원 전문가 등 올해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공공형 매력일자리는 총 14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형 일자리는 이달 초부터 참여자를 모집해 추가 결원이 발생하면 연령 상한 폐지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간기업에서 일하는 민간형 매력일자리는 오는 3월부터 모집한다.
관악돌봄SOS센터 매니저가 거동이 불편한 김모씨를 찾아 식사를 건네고 있다. 홀로 사는 김씨는 코로나19로 복지관 식당이 문을 닫자 반찬을 사러 다니다 넘어져 크게 다쳤다. 최근엔 파킨슨병 진단까지 받았다. 중앙포토 규제철폐안 8호는 ‘돌봄SOS’ 서비스 상한 기준 폐지다. 돌봄 SOS는 치매 노인이나 장애인·저소득계층 등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을 대상으로 돌봄 매니저가 방문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3만2232명이 이 서비스를 이용했다. 대청소ㆍ집수리, 식사 배달, 외출 시 동행 지원, 당사자 수발, 단기간 시설 입소 등 총 5개 서비스 항목이 있는데 서비스별 이용 한도가 정해져 있었다. 예를 들어 하루에 7만1970원인 단기시설 입소의 경우 연간 최대 14 일만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인당 연간 이용금액인 180만원 한도 내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계속 받을 수 있게 규제를 없앴다”며 “4월 12일까지 ‘규제개혁신문고’를 운영하는 등 규제개혁 아이디어를 계속 발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동복지사 매력일자리 연령제한 서울 매력일자리 공공형 매력일자리 65세 노인 일자리 상한 규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주민등록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르코니아 급여 적용 확대보건복지부는 65세 이상 임플란트 치료 급여를 지르코니아 재료까지 확대하고, 충치 검사 급여를 15세 이하로 확대하는 등 치과 분야 보장성을 강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연령, 80세 이상 급증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노인의 연령대가 '60대'에서 감소하고 '80세 이상'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80세 이상'의 참여 비중은 2007년 5.2%에서 2024년 29.2%로 5.6배 증가했다. 또한, 여성 참여 비중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 기준 연령 ‘65세’ 올려야 하나··· 정부 “올해 본격적으로 사회적 논의”정부가 현재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는 것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올해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답보 상태인 국민연금 개혁 논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률,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교통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 자살률은 과거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률, 세계 1위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률이 세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