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건보 적자 무엇 때문?…60세 이상 외국인 피부양자 87%가 중국인

대한민국 뉴스 뉴스

중국인 건보 적자 무엇 때문?…60세 이상 외국인 피부양자 87%가 중국인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BSnews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중국인 건보 적자 무엇 때문?…60세 이상 외국인 피부양자 87%가 중국인 KBS KBS뉴스

현행 건강보험법상 외국인 지역가입자 가족은 입국 후 6개월이 지나야 의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반면 직장가입자의 경우 피부양자 거주 조건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있어, 한국에 들어오는 즉시 신고만 하면 바로 의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인 국내 토지 보유, 6년 새 3배↑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실에 제공한 '외국인 토지 현황'·'국적별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중국인의 국내 토지 보유는 2016년 2만 4035필지에서 2022년 6만9585필지로하지만 우리 국민은 중국에서 부동산 취득에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해 홍석준 의원은"외국인에 대한 투표권 부여 및 부동산 취득 허용은 상호주의에 따라 국익 차원에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면서"상호주의에 입각한 제도 개선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중국인은 부동산 매입비용을 자국 은행에서 제한 없이 조달받을 수 있는 반면, 우리 국민은 중국에서 취업 또는 유학 목적에만 1주택만 소유할 수 있어 상호주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앞서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지난달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상호주의에 입각해 한중 관계부터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면서 국내 거주 중국인의 투표권 제한, 건강보험에 등록 가능한 피부양자 범위 축소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정부와 여당은 상호주의에 입각해 중국인들의 국내 투표권, 건강보험, 부동산 등을 두루 손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두고 야권에선 내년 총선을 앞두고 반중 정서를 이용한 여권의 선거 전략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기자 정보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BSnews /  🏆 2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외국인 불법 토지거래 56%는 중국인외국인 불법 토지거래 56%는 중국인국내에서 불법 토지거래를 한 외국인 가운데 56.1%는 중국인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 사이 이뤄진 전국의 외국인 토지거래 1만 4,938건을 조사한 결과, 해외자금 불법반입과 명의신탁 등 위법 의심 행위 437건을 적발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천 땅 사고 팔며 10배 차익”…외국인 토지 이상거래 무더기 적발“인천 땅 사고 팔며 10배 차익”…외국인 토지 이상거래 무더기 적발2017년 8월, 중국인 A 씨가 인천 계양구의 한 토지를 800만 원에 사들입니다. A 씨는 2년여 뒤 이 땅을 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위 격화' 프랑스서 중국인 41명 탄 버스 투석 공격받아'시위 격화' 프랑스서 중국인 41명 탄 버스 투석 공격받아지난달 29일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중국인 관광객 41명을 태운 버스가 시위 참가자로 보이는 이들의 투석 공격을 받아 승객 중 일부가 다쳤다고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등이 보도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국에서 산호초 밟고 불가사리 만지면 감옥 갑니다태국에서 산호초 밟고 불가사리 만지면 감옥 갑니다태국에서 산호초를 짓밟고 불가사리를 만지는 등 현지 해양보호법을 위반한 중국인 관광객 3명이 실형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현지시간 28일 SCMP 등 외신에 따르면, 태국 푸껫섬 인근 라차섬에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들이 스쿠버다이빙을 즐기면서 산호초를 밟거나 불가사리를 흔드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 낳고 나서야 혼인 신고... 왜?아이 낳고 나서야 혼인 신고... 왜?아이 낳고 나서야 혼인 신고... 왜? 주택청약제도 주거정책 예비신혼부부 안유정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07: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