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7일 미국이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민감국가·SCL)에 추가한 이유로 정부·여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7일 미국이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추가한 이유로 정부·여당의 핵무장론을 지목하며 “완벽한 외교 실패이자, 외교 참사이고, 정부 실패”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1월 외교부·국방부 업무보고에서 “한국이 전술핵을 배치한다든지 자체 핵을 보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후 여권 대권 주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도 핵무장론을 주장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 11일 국회무궁화포럼 축사에서 “핵 잠재력 확보를 포함해 다층적 안보협력 체계 논의는 시의적절하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앞으로 어려움 있긴 하지만 한반도 비핵화를 향해 가야 한다. 우리가 핵무장하겠다는 소리는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는 결과가 된다. 치러야 할 대가를 빼고 달콤한 부분만 제시해서 핵무장 운운하며 국민을 선동하고 속이는 행위를 해선 안 된다”며 “국정을 책임지겠단 정치 집단이 무책임한 주장을 남발해서야 되겠느냐”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태년 “민감국가 지정, 4월 15일까지 해제시켜야”“민감국가 지정은 사실상 한미동맹 균열” 지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감국가' 與 핵무장론 때린 이재명…2년전 尹 실제발언 어땠나미국 에너지부가 지난 1월 초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에 포함한 사실이 알려지자, 야당은 윤석열 대통령과 여권 주요 정치인들의 자체 핵무장론을 탓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1년 안에 핵무장할 수 있다는 허장성세, 현실성 없는 핵무장론 등이 민감국가 지정으로 나타났다'며 '완벽한 외교 참사이자 정부 실패'라고 성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전문가, 민감국가 지정은 모욕…“윤석열 핵무장론·계엄 영향”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1월초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올린 것으로 확인되면서 그 의도와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 확장억제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 지정에…與 '탄핵 남발 탓' 野 '계엄·핵무장론 탓'더불어민주당은 16일 '민감국가 지정은 무능한 윤석열 대통령 집권의 결과이자 12ㆍ3 내란의 후과'라고 주장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이 '한ㆍ미동맹이 최초로 다운그레이드(downgrade)된 것'이라며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정부가) 미국 측 전화도 안 받고, 친위 쿠데타를 위해서 동맹을 버린 외교 참사의 결과다.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분명한 것은 집권 내내 윤석열이 겁 없이 떠들었던 핵무장론과 위헌적 12ㆍ3 내란이 결정적 빌미를 제공했다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입을 다물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감국가 지정, 보수 권력 핵무장론·계엄이 부른 ‘외교 대참사’미국 정부가 원자력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추가했다고 공식 확인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미국이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데는 윤석열 정부 들어 한국 보수진영에 확산된 ‘핵무장론’과 윤 대통령의 12·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민감국가’에 韓 추가 파장…핵무장론·비상계엄 등 원인 해석 분분美 “바이든때 민감국가 최하위 범주 韓 추가” “과학·기술협력 금지 아니다”지만 파장 촉각 정부, 두달간 ‘깜깜이’…부랴부랴 “美와 협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