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살 맞은 국내 최대 프리미엄 리빙 전시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
국내 최대 규모의 리빙 전시회 '서울리빙디자인페어'가 26일부터 3월 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30회를 맞는 이번 행사는 '2025 생활백서: 삶의 낭만'을 주제로 행복이 더 커지는 생활 속 디자인을 선보인다.
1994년에 처음 선보인 서울리빙디자인페어는 국내 리빙 및 인테리어 산업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작된 행사다. 그 동안 서울리빙디자인페어를 통해 총 13,000여개 브랜드가 참여해 대중과 만나왔으며, 누적 관람객 수만 480만명에 달한다. 국내외를 대표하는 브랜드를 비롯해 역량 있는 디자이너와 전문가들이 참가하며 새로운 리빙 트렌드를 제시하고 공간과 일상의 가치를 전달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브랜드 전시관에서는 국내외 리빙 트렌드를 선도하는 총 501개 브랜드, 1853개 부스가 참가해 최신 리빙 트렌드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공간을 소개한다. 가구, 가전, 조명, 쿡&테이블웨어, 인테리어 자재, 소품, 가드닝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또 하나의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다목적 공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가구들도 소개된다.
아울러 인테리어 소품을 단순히 장식 이상의 예술작품으로 인식하는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예술적 감각을 살린 독창적인 디자인의 인테리어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보는 즐거움까지 더한 예술적 감각이 높은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한다. 부대행사로는 건축과 인테리어, 공간과 가구, 뷰티와 웰니스, 유통과 소비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연사들의 인사이트를 전하는 '2025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 콘퍼런스'와 디자이너 및 브랜드를 조명하는 '리빙 디자인 어워드' 등이 진행된다.올해는 '2025 생활백서 : 삶의 낭만'이라는 주제로 구병준 대표, 백종환 대표, 문지윤 대표가 각자의 가치관과 삶의 이상형을 제시하고 '주택'이 아닌 개인의 가치관과 삶의 이상향을 담은 '주거' 개념을 선보인다.또한 오는 2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되는 '2025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 콘퍼런스' 에서는 'Sustainable-yet-Profitable :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디자인 비즈니스'라는 주제로 6개 세션, 22명의 연사가 참여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3년 새해를 위한 휴식: 작품 속으로 밀려드는 세상의 이야기소설 읽기에 푹 빠진 겨울 휴식, '뇌썩음'과 알고리즘에 탈출, 삶의 성찰을 위한 문턱을 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근심 걱정은 나에게 던져라'... 민혜경 만신 새해 대운맞이 굿삶의 혼란함을 물려내고 삶의 풍요로움을 춤으로 신명께 바라고 소리고 전하오니 이곳에 닿는 걸음 명복 나려 도우소서' 30일 오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나라의 안녕과 시민들의 대운을 기원하는 민혜경 만신(만구대탁굿 전승교육사)의 '2025 새해 대운맞이 굿'이 열렸다. 관객 입장 전 신을 맞아들이는 의식인 '신청울림'으로 시작해 복을 기원하는 '제례의식', 당산의 신령을 맞아들여 잘 보살펴 달라고 기원하는 '상산맞이', 신령들을 제단에 좌정시키는 '초감흥거리'로 신을 부른 다음 맨손 춤사위와 칼 춤사위를 동시에 표현하는 '경기검무', 자손들의 재수소망을 바라는 '칠성제석거리'부터 본격적인 복받는 과정이 시작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세히 보면 보이는 낭만, 김은아 시민기자의 '낭만도시' 연재어릴 적부터 꿈꾸던 '낭만'을 찾기 위해 김은아 시민기자는 주변의 작은 것들 속부터 낭만을 발견하고 글로 풀어내기 시작했다. '아이유의 '아이야 나랑 걷자'부터 춘양의 할머니 '고양이 서비스'까지, 핵심은 '자세히 보이고 귀 기울여' 봐야 한다는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후위기 극복 위해 다음 정권에서 꼭 해야 할 6가지[2025 신년기획 : 시대정신과 공론장의 역할] ⑧ 마지막 기회의 창 '녹색전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기 대선 핵심 의제가 여기 있다... '샌드위치 세대' 살리기[2025 신년기획 : 시대정신과 공론장의 역할] ⑦ 돌봄 사회 구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아시안게임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금메달김건희(시흥매화고)가 2025 하얼빈겨울아시안게임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에서 예선 성적만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