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2년 전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국무조정실이 11일 공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지난해 기준 5.2%(임신·출산·장애 제외)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조사 당시 2.4%보다 2배 이상으로 높아진 수준이다. 고립·은둔 생
국무조정실이 11일 공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지난해 기준 5.2%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조사 당시 2.4%보다 2배 이상으로 높아진 수준이다.청년의 우울 증상 유병률은 2022년 6.1%에서 지난해 8.8%로 증가했다. 이 기간 자살 생각 경험 비율은 2.4%에서 2.9%로 증가했다.
2년 새 배우자가 없는 청년들의 결혼 계획 및 출산 의향도 줄었다. 미혼 청년 중 향후 결혼 계획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22년 75.0%에서 지난해 63.1%로 하락했다. 자녀 출산 의향이 있는 청년 비율은 같은 기간 63.3%에서 59.3%로 감소했다. 국조실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이 조사는 청년기본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로 2년마다 작성·공표된다. 이번 조사는 2022년 이래 두 번째로 실시됐다.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34세 청년 세대원이 있는 약 1만5000가구가 표본이었다.청년 중 미혼은 81.0%, 기혼은 19.0%였다. 1인 가구 청년은 23.8%로 집계됐다.취업자의 비율은 67.7%로, 이들의 세금 공제 전 월 소득은 266만원이었다. 취업자 중 전일제는 80.4%, 시간제는 19.6%이었다. 복수 일자리를 가진 비율은 5.5%를 기록했다.이직·구직 시 1순위 고려 요인으로는 임금이었다. 고용안정성과 근로시간, 장기적 진로설계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61.1%는 자신이 건강하다고 응답했다. 주 3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한다고 답한 청년은 33.4%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 상담이 필요했으나 받지 못한 청년은 6.3%였다. 비용부담이 그 이유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최근 1년간 ‘번아웃’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년은 32.2%였다. 원인별로는 진로불안, 업무과중, 일에 대한 회의감, 일과 삶의 불균형 등 순으로 집계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울 아이 안 먹일수는 없고”…고물가·고금리에 30%나 수입 급증한 ‘이것’멸균유 수입량 1년 새 30% 증가 역대 최대 수입량인 4만8671t 국내산 우유의 절반도 안되는 가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년새 2배 급증한 악성 미분양…건설경기 짓누르자 '매입 카드'(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5년 만에 지방 미분양 아파트 매입에 나서는 건 지방 악성 미분양 주택이 1년 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원명칼럼]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를 같은 날 치른다면차기 대통령 임기는 3년만대신 2028년 재출마 가능국민엔 '3년 후 새 헌정' 희망내전적 갈등 수위 낮추는 효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립·은둔 청년 2년새 2배 ‘쑥’…우울증·자살 생각 경험↑지난해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5.2%로 2년 전 보다 2배 이상 늘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우울증을 경험한 청년들의 비율도 늘었다. 국무조정실이 11일 공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를 보면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은 5.2%(임신·출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년 사이 ‘은둔형 외톨이’ 2배로…결혼·출산 의향도 크게 줄어지난해 국내에 거주하는 고립·은둔 청년(만 19세~34세)의 비율이 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대폭 증가한 점이다. 면접 조사에 응하지 않은 이들까지 고려한다면 실제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 청년,국무조정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 저가수출에 '반덤핑' 칼 빼든 정부…불공정 무역 엄정 조치(종합)(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최근 5년 새 악화해온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