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央大社會福利學部教授李勝勻在其著作中闡釋了在韓國社會快速變遷中,不穩定勞工所面臨的挑戰和社會制度的缺失。作者深入探討了新科技對勞動市場的影響,以及這些改變對年輕勞工產生的不安全感。
"궁극적 목적은 … 일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새로운 불안정성이 어떻게 그 모습을 드러내는지, 그리고 불안정노동 자를 둘러싼 제도적 노력 이 어느 부분에서 실패하는지, 무엇보다 불안정노동 과 사회정책 을 내가 어떻게 연구하며, 무엇을 배웠는지를 공유하고자 한다."
선거철 '주요 고객'인 청년을 중심으로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언론은 '낙관'을 퍼뜨린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안정노동자'에 관심을 두는 연구자가 있다는 것 자체가 반가운 일이다. 더구나 자신이 속한 계급적 위치와 연구 대상의 틈을 메우기 위해 노력하는 학자가 있다는 점은 매우 다행스럽다.책은 모두 4부로 구성됐다. 1부 '격랑의 노동현장, 준비되지 않은 사회'는 급변하는 한국에서 드러나지 않는 불안정노동자들의 일터를 포착한다. 2부 '노동자가 쓰러진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는 불안정노동이 일하는 사람들의 삶 속에 어떤 어둠을 만드는지와 허술한 사회 안전망을 보여준다. 3부 '청년노동, 누가 무엇을 말하는가?'는 청년 불안정노동자들의 삶과 청년 세대 양극화를 다룬다. 4부 '경계에서의 고민'은 불안정노동 연구자로서 고뇌와 성찰을 담았다.
이 암호 해독은 연구자들만의 몫이 아니다. 공동체가 함께 풀어내야 할 과제다. 그 암호 속에는 '쓰러지는', 그러나 '쉴 수 없는' 노동자들 이야기도 들어 있다. 허술한 사회 보장 제도로 인해 일터에 붙어 있지 않으면, 생활이 어렵다. 코로나 19 팬데믹 때 '아프면 쉬어야 한다'던 말은 사라진 지 오래다. 아픈 몸을 '하자 있는 상품'으로 여기는 사회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쉬지 못 한다. 고용 불안정, 임금·소득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을 지표로 이 세 가지 모두 불안정한 경우 '매우 불안정', 두 가지가 불안정한 경우 '불안정', 한 가지가 불안정한 경우 '약간 불안정', 모두 불안정하지 않으면 '안정'으로 나타냈다. 2002과 비교하면, 2022년 청년 세대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학에서 시국선언 쏟아지며 사회 변화 추동윤석열 대통령의 임기가 절반 남짓 지났을 때, 전국의 대학에서 시국선언이 쏟아지고 있다. 학생과 교사들이 사회 정의를 위해 목소리를 내며, 대학이 사회 변화를 추동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이러한 역할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 축구 밀알 되겠다” 허정무 전 축구대표팀 감독, 축구협회장 선거 공식 출마내년 1월 8일 선거에 첫 공식 출마자 許 “협회 위상 떨어지고 한국 축구 퇴보” 동행·공정 등 5가지 변화 키워드 제시 정몽규 현 회장은 아직 출마선언 안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 여성이 남성의 3배국민 4명 중 1명은 한국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 불안 요인으로는 범죄와 경제적 위험을 꼽은 비중이 2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1심 판결로 한국 정치 판도 변화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위반 1심 판결로 한국 정치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관례로 덮어두던 것이 법의 철퇴를 맞으며 이제 이게 기본값이 되었다. 이 대표의 1심 판결은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선 처음 있는 선거법 위반 판결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대표 판결로 한국 사회 법과 정치 긴장 관계 재조명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사건의 1심 판결이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정치의 긴장 관계를 재조명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폭설 속에서의 일상, 학생들의 등교 시간 변화와 가정의 준비폭설로 인한 출근과 등교 문제, 학교의 등교 시간 변경 및 휴업 결정에 따른 가정의 일상 준비 상황을 다룹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