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뒷면에, 조선시대 천문학자 ‘남병철’ 이름 새겼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달의 뒷면에, 조선시대 천문학자 ‘남병철’ 이름 새겼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1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8%
  • Publisher: 53%

달 뒷면 크레이터(충돌구)에 조선시대 천문학자 남병철(1817∼1863) 선생의 이름이 붙게 됐다. 달 표면에 우리말 지명이 붙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연구책임자 진호 교수)은 달 뒷면 크레이터에 남병철 선생의 이름

지난 14일 조선시대 천문학자 남병철 선생의 이름을 따 새로 명명된 달 뒷면 ‘남병철 크레이터’의 위치. 경희대학교 제공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달 뒷면 크레이터에 남병철 선생의 이름을 신청해, 지난 14일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심사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공식 이름은 ‘남병철 크레이터’다.경희대 연구팀은 미국 산타크루즈대학교 이안 게릭베셀 교수와 함께 달 크레이터가 생길 때 충격 에너지로 인한 달 표면의 자기장 변화 연구를 하던 중, 한 이름 없는 크레이터가 특이한 자기장 특성을 띠는 것을 발견하고 남병철 선생의 이름을 신청했다. 달 표면 크레이터의 이름은 국제천문연맹이 신청을 받아 심사해 짓는데, 통상 △중요한 과학적 의미를 갖는 크레이터에 △이미 세상을 떠난 과학자의 이름을 붙인다. 이번 선정으로 현재까지 이름이 붙여진 달 크레이터는 모두 1659개가 됐다.

남병철 크레이터는 지름 132㎞의 거대한 충돌구다. 연구책임자 진호 교수는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뒤 달 탐사가 활발했던 ‘아폴로 시대’ 뒤로 이렇게 큰 분화구의 이름을 짓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1980년 이후로는 거의 없었을 것”이라며 남병철 크레이터 연구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 8월 발사돼 달 궤도를 돌고 있는 우리 달 궤도선 ‘다누리’를 통해 추가 관측을 이어 갈 계획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조선시대 인구 40%가 노비라는데···노비는 '노예'와 다를까조선시대 인구 40%가 노비라는데···노비는 '노예'와 다를까고려시대엔 일천즉천(一賤卽賤), 즉 부모 중 한 명만 노비이면 자녀도 노비가 됐고, 노비와 양인의 결혼 자체도 불법이었습니다. 노비를 가진 양반 입장에선 노비와 노비를 결혼시키는 것보다는 노비와 양인을 결혼시키는 것이 노비를 늘리기가 쉬웠기 때문에 이를 적극 권장했던 것이죠. 조선에서 유난히 노비 숫자가 증가 - 조선,인구,조선시대 노비,노비 인구,고려시대 노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선시대 세금은 어떻게 바다로 운송했나...조운 관련 가장 오래된 일기 ‘조행일록(漕行日錄) 전시조선시대 세금은 어떻게 바다로 운송했나...조운 관련 가장 오래된 일기 ‘조행일록(漕行日錄) 전시일기는 1863년 전라도의 세곡을 한양으로 운반한 과정을 담고 있는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19세기 조운 실태를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1부 ‘나라 곡식이 금강으로 모여’는 임교진이 함열 현감으로 부임한 후 금강 일대 8개 고을의 세곡을 걷고 출항하는 과정을 담았다. 김종해 국립해양박물관장은'조행일록은 19세기 조창(漕倉)의 운영과 조운 실태를 보여주는 매우 희귀한 자료'라며 '나라 곡식을 무사히 옮기기 위한 관리와 조운선 선원의 노력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국동, 서린동의 조선시대 이름은?안국동, 서린동의 조선시대 이름은?조선의 작명 방식과 철학 먼저 지명 유래를 살펴보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알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약 600년전의 '조선의 지명철학'이다. 1394년(태조4) 조선은 도읍을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긴 후 제일 먼저 경복궁과 함께 사직단과 종묘를 짓고 이와 더불어 한양의 행정구역을 5부 52방으로 정비하였다. 그리고 궁궐의 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게 바로 초통령의 힘···어린이들 함성으로 가득했던 아이브 콘서트이게 바로 초통령의 힘···어린이들 함성으로 가득했던 아이브 콘서트“저기...저 아이해봉(아이브 응원봉 이름)이 안되는데…” 11일 아이브의 월드투어 앙코르 콘서트 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행평가로 시작해 이듬해 전국대회 우승… 천재성과 노력이 만든 양지인의 금메달수행평가로 시작해 이듬해 전국대회 우승… 천재성과 노력이 만든 양지인의 금메달파리올림픽 사격 여자 25m 권총 金 슛오프 끝에 佛 선수 따돌리고 정상 지난해 항저우AG 개인·단체전 동메달 시즌 시작되면 커피 끊고 자기 관리 “사격 하면 내 이름 떠올리게 하고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밥벌이 못하겠다' 말 듣던 韓작가, 첫 소설 '억대 대박' 터졌다'밥벌이 못하겠다' 말 듣던 韓작가, 첫 소설 '억대 대박' 터졌다소설가 이미리내(41)의 장편 데뷔작『이름 없는 여자의 여덟 가지 인생』(위즈덤하우스)은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세상에 나왔다. 『이름 없는 여자의 여덟 가지 인생』은 한국의 한 요양원에서 일하는 화자 '나'가 치매 환자 구역의 괴팍한 노인 '묵할머니'의 인생을 취재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단편 '북한 접경지대의 처녀 귀신'은 『이름 없는 여자의 여덟 가지 인생』의 첫 챕터이기도 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11: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