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엔 일천즉천(一賤卽賤), 즉 부모 중 한 명만 노비이면 자녀도 노비가 됐고, 노비와 양인의 결혼 자체도 불법이었습니다. 노비를 가진 양반 입장에선 노비와 노비를 결혼시키는 것보다는 노비와 양인을 결혼시키는 것이 노비를 늘리기가 쉬웠기 때문에 이를 적극 권장했던 것이죠. 조선에서 유난히 노비 숫자가 증가 - 조선,인구,조선시대 노비,노비 인구,고려시대 노비
그는 장인이 도망간 노비들을 잡으러 갔다가 살해됐다는 사연을 듣고는 신혼 첫날밤 홀로 쇠방망이를 들고 노비들의 은신처로 찾아가 복수를 합니다. 또 그들의 재산을 모조리 빼앗아 장모에게 가져다줬으니, '백년손님'이라는 사위가 장가온 첫날부터 큰 선물을 안긴 셈이죠.이렇게 도망간 노비를 잡아들이는 일을 추노라고 했습니다. KBS 드라마 ‘추노’를 통해서도 잘 알려졌죠. 실제로 조선에선 노비가 도망치고, 이를 잡아들이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심지어 조선 전기 유명한 재상이던 한명회는 “공사 노비 중 도망 중인 자가 100만명”이라고 말한 것이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노비를 잡아들이거나 노비 소송을 전담하는 장예원이라는 국가기관을 따로 둘 정도였습니다.학계에선 조선 인구를 1000만명 정도라고 봤을 때, 대략 40%에 해당하는 400만명 정도가 노비였을 것으로 추산합니다. 대단히 많은 숫자지요.
그런데 노비는 병역이나 납세의 의무를 지지 않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노비가 늘어난다는 것은 좋은 현상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조선의 일부 왕들은 노비 숫자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펴기도 했습니다. 이후 1485년, 성종 때 만들어진 『경국대전』에서는 ‘일천즉천’이 확정됩니다. 즉, 부모 중 한쪽이 노비이면 자녀도 노비가 된다는 것을 법으로 명문화한 것이죠. 조선의 노비 수는 다시 급증하게 됩니다. 즉, 병역과 세금을 담당할 양인의 숫자는 다시 감소하게 된 것이죠. 조선에서 유난히 노비 숫자가 증가하고, 또 양반 관료들이 이를 결사적으로 막았던 것은 고려말부터 증가했던 대규모 농장을 유지하는데 노비의 노동력이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퇴계 이황의 경우만 해도 자녀들에게 약 36만평 가량의 농토를 남긴 지방 지주였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제허리’가 사라진다…일하는 40대 최저, 노인은 1000만명 돌파40대 경제활동 인구 634만7000명...21년만 최저 OECD, 韓 인구쇼크 경고 “기업정년 단계적 폐지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림픽] '사격 집안 막내'와 '엄마 사수'가 일냈다…파리에 은빛 총성(샤토루[프랑스]=연합뉴스) 이대호 기자=2024 파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에 첫 메달을 선사한 박하준(KT)과 금지현(경기도청)은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북에서 '이재명과 함께'와 '당원주권시대'가 맞붙는다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서 소위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 구도가 굳어지고 있는 가운데 당대표 선거보다 최고위원과 도당위원장 선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모양새다. 2년 임기의 차기 도당위원장은 2026년 지방선거에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국 곳곳에서 경선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충북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기서 차 사면 취득세 깎아준대”…사람보다 차가 더 많다는 ‘이곳’제주특별법 특례 적용 취득세 7%→5% 인하 6월 기준 70만8315대 인구·세대당 전국 1위 등록차 40% 섬 밖서 운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기서 차 사면 취득세 깎아준대”…사람보다 차가 더 많다는 ‘이곳’제주특별법 특례 적용 취득세 7%→5% 인하 6월 기준 70만8315대 인구·세대당 전국 1위 등록차 40% 섬 밖서 운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제허리' 40대 인구 급감, 여성·고령자·외국인 활용서 해법 찾길 [사설]국가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 경제활동인구가 21년 만에 최저치까지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40대 경활인구는 2분기 634만7000명으로, 2003년(618만6000명) 이후 가장 적었다. 40대가 전체 경활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21.4%)도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가 5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