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P] 한미일 정상회의·한미 UFS연습 앞두고 잇따라 무기공장 행보로 ‘맞대응’ 의지 “미사일 생산능력 비약적 제고” 지시도 ‘잠재고객’ 러시아 감안 퍼포먼스 측면
‘잠재고객’ 러시아 감안 퍼포먼스 측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무기체계 생산시설들을 잇따라 방문해 무기 생산능력을 높일 것을 다그치고 나섰다.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공장에서 “전쟁 준비의 질적 수준은 군수산업 발전에 달려있다”면서 “공장에서는 전쟁 준비를 위한 생산적 앙양을 일으켜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해당 공장의 미사일 생산능력을 비약적으로 제고해 전방부대들과 미사일 부대들의 수요에 맞게 대대적으로 생산을 늘릴 것에 대한 중대 목표를 제시했다. 북측은 해당 보도에서 김 위원장이 한국을 겨냥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KN-24가 늘어선 군수공장 내부를 걷는 모습도 공개했다. 이날 북측은 김 위원장이 전투장갑차 생산공장에서는 새로 개발된 다용도전투장갑차를 직접 운전했다고 전하며 관련 보도사진도 내놨다. 해당 장갑차는 지난 2020년 10월 북한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처음 등장한 차륜형이며, 외관이 미군의 스트라이커 장갑차와 비슷하다.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핵탄두와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전략무기는 물론 실질적 전쟁수행에 필요한 전술무기 생산을 확대해 한미일 군사·안보 협력에 맞대응하며 긴장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북측이 김 위원장이 ‘원쑤들은 전쟁도화선에, 남조선괴뢰들을 쓸어버리자’는 구호가 적힌 배경 앞에서 찍은 사진을 공개한 것도 이 같은 배경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 위원장이 우크라이나전쟁 국면에서 잠재적인 무기수출 대상인 러시아를 염두에 두고 이 같은 퍼포먼스를 펼쳤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 전쟁 준비가 빈 말이 아님을 보여주기 위해 한미일 정상회담과 8월 하순 UFS연습에 대한 강력한 맞대응을 예고한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양 교수는 “북측은 핵무기 개발로 인해 군사력 운용이 확대됐고,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더많은 전략전술무기들을 생산해야하는 상황”이라며 “미중, 남북 갈등 속에서 군비확대에 주력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정은이 강계 군수공장으로 간 까닭은?[레이더P] 홍민 통일硏 선임연구위원 분석 金, 강경기조 전환시점에 강계行 중·러와 밀착하며 전쟁준비 강조 러시아 고려한 ‘NK방산’ 세일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페트병의 변신...'재활용 배'로 한강 건너요![앵커]여름 막바지에 접어든 휴일, 재활용품으로 직접 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분 뒤 계기판엔 '시속 300㎞'…차세대 고속열차 직접 타보니차세대 고속열차로 불리는 EMU-320으로 현대로템이 제작해 코레일에 인도하기 전 시험운전을 하는 중이다. EMU-320은 맨 앞의 동력차가 뒤에 연결된 객차를 끌고 달리는(동력집중식) KTX·KTX-산천과 달리 별도의 동력차 없이 객차 밑에 모터를 분산 배치해서 달리는 ‘동력분산식’이다. EMU-320은 8량 가운데 조종실이 있는 맨 앞과 맨 뒤 차량을 제외한 가운데 6량에 각각 4개씩 모두 24개의 모터가 달려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정책 발표로 분위기 반전되나김두겸 시장, 광역지자체장 최초 96분간 정책성 평가 직접 발표... 질의에 응답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미일 정상 '웬에버·왓에버 위력'…'김정은 갈라치기' 안통한다지난 18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한·미·일 협의에 대한 공약(commitment to consult)’ 문건은 3국 정상이 이런 김정은에게 '갈라칠 틈새는 없다'고 답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실제 해당 공약은 '공동의 이익과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도전, 도발, 위협에 대해 3국이 신속하게 협의한다' 고 규정했는데,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를 '역내에 위기가 발생하거나 우리 중 어느 한 나라라도 영향을 받을 때마다(whenever)' '위기의 근원이 뭐가 됐든 관계없이(whatever source it occurs)' 등으로 표현했다. 김정은은 남한을 노린 전술핵을 완성해 한·미 동맹의 상호방위 딜레마를 가중하려 했지만,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전술핵이 한국만의 걱정거리가 아니라 한·미·일 모두에 위협이라는 인식을 달성 할 여지가 커진 셈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권·사이버 돈줄…한·미·일, 김정은 제일 아픈 곳만 찌른다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한·미·일이 김정은 정권을 실질적으로 강력하게 압박할 수 있는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한·미 차원의 대북 사이버 범죄 대응에 일본까지 가세하면서 북한이 느끼는 압박감은 훨씬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동성명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지지한다'고도 밝혔는데, 해당 문구는 지난 4월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명시한 데 이어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 공동성명에도 처음으로 담겼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에 대한 미국과 일본의 지지를 확고히 받아냈다는 점에서 외교적 성과로 볼 수 있다'며 '한·미·일이 한반도의 통일과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차원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