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75년 전 제주 비극 끝나지 않아… 잊지 말아야' 김동연 제주도 4.3 경기도 박정훈 기자
김 지사는 3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정명이 필요하다"며"비석에 제대로 된 이름을 새기고 반듯하게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반란', '사건', '폭동', '항쟁'...아직 제 이름을 얻지 못하고 '제주4.3'으로 불리는 까닭에, 비문이 새겨지지 않은 비석"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외지인들이 함부로 입에 올려선 안 될 만큼 제주인들에겐 큰 상처"라며"다만 억울하게 고통받은 분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명예를 회복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다짐했다.한편,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약 7년 7개월 기간인 1948년 4월 3일의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확인된 민간인 사망자만 1만 명이 넘고, 추정 사망자는 최대 6만 명에 이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탈출 얼룩말 대안이 '외롭지 않게 합사'라고요?탈출 얼룩말 대안이 '외롭지 않게 합사'라고요? 동물원 동물원수족관법 동물복지 정형행동 세로탈출 신재호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아기주검 치켜든 ‘서북청년단’의 제주 상륙...누가 ‘우익폭력’ 부추기나서북청년단이 4월3일 4.3추념식이 열리는 평화공원 앞에서 집회를 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학살가해자 단체가 피해자들 앞에서 깃발 흔들며 집회를 하겠다고 하는데, 이 정부는 일언반구도 없습니다. 이게 얼마나 잔혹한 일인지, 학살터를 돌며 서북청년단 이야기를 전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준석, 국민의힘 ‘4·3 흔들기’ 작심 비판 “선거로 따끔하게 교정해야”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3일 제주 4.3 추념식에 참석한 뒤 “기념식 참석은 기본으로 해야 하는 것인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며 불참한 김기현 대표 등 새 지도부를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누군가는 기억해야 하는 비극, 제주 4.3누군가는 기억해야 하는 비극, 제주 4.3 작별하지_않는다 김성호의_독서만세 제주_4.3사건 한강 문학동네 김성호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과자가 제주 점령'... 문제제기한 사람들의 비극'양과자가 제주 점령'... 문제제기한 사람들의 비극 제주_4.3 남북분단 미군정 4.3항쟁 4.3사건 김종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75년 통곡의 세월 버텼는데 4·3 왜곡·폄훼 살갖 찢기는 고통”제주도민이 지난 1948년 4‧3 이후 75년 동안 입에 담기조차 공포스러운 4‧3에 대해 입다물고 견뎌온 삶을 일컫는 제주 방언이다. 이후 진상규명과 희생자‧유족 명예회복과 배보상이 이뤄가는 ‘정의로운 해결’을 추진해 왔으나 최근 4‧3을 공산 폭동이었다거나 김일성 사주를 받고 벌인 일이라는 망언이 공개적으로 쏟아져나와 제주도민이 다시 상처와 고통을 호소했다.김창범 제주 4‧3 희생자 유족회장은 3일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5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지난 75년의 시간을 두고 “생존 희생자와 유족에게는 누구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