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사들이 가입자한테서 떼가는 퇴직연금 수수료가 해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물가상승률조차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수익률은 극히 저조한 상황에서 가입자들은 수수료로 지불하는 비용만 커지는 현실을 어찌해볼 도리없이 그냥 지켜볼 수밖에 없는 처지여서 속앓이만 하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의 '퇴직연금 비교공시' 자료에 따르면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개인형 퇴직연금 가입자가 퇴직연금 사업자인 금융사에 자산관리 대가 등으로 건넨 총수수료는 지난해 1조6천840억5천500만원에 달했다. 1조7천억원에 육박하는 거액을 수수료로 떼인 셈이다.작년 수수료 수입 규모를 상위 금융사별로는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2천116억4천3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은행, 삼성생명, 하나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미래에셋증권 등의 순이었다.수수료 규모는 2018년 8천860억4천800만원, 2019년 9천995억7천800만원, 2020년 1조772억6천400만원, 2021년 1조2천327억원, 2022년 1조3천231억6천100만원, 2023년 1조4천211억8천600만원 등으로 늘었다.현행 수수료 체계는 금융사들이 운용 성과와 상관없이 적립금에 차등 요율이나 단일 요율 등 일정 비율로 부과해서 가입자한테서 떼어가는 방식이다.
실제로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2005년 12월 제도 시행 1년 후인 2006년 1조원에 못 미쳤지만, 10년 뒤인 2016년 147조원으로 커졌다. 이후 2018년 190조원, 2020년 256조원, 2022년 336조원, 2023년 382조4천억원 등으로 늘어났다.가입자들은 이렇게 막대한 수수료를 내고 있지만, 정작 퇴직연금 운용실적을 보여주는 수익률은 형편없다.2023년 말 기준으로 10년간 퇴직연금 연 환산 수익률은 2.07%에 불과하다. 5년으로 기간을 줄여도 연 환산 수익률은 2.35%로, 2023년 물가 상승률인 3.6%에도 미치지 못한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수익률은 마이너스인 셈이다.
퇴직연금 수익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2.25%, 2020년 2.58%, 2021년 2%, 2022년 0.02%, 2023년 5.26%였다. 제도 시행 이후 5%대 수익률은 2010년과 2023년뿐이다.국민연금연구원 한편 퇴직연금제도의 법적 근거가 되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사업장의 사용자는 일정 금액을 보험료로 떼어 외부 금융기관에 맡겨야 한다. 금융사는 이를 운용해서 수익을 낸 뒤 가입자에게 돌려줘야 한다.운용관리 수수료는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 방법에 대한 컨설팅 및 설계, 적립금 운용 현황에 대한 기록관리, 가입자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 데 대한 대가다.펀드 총비용은 펀드 같은 실적배당상품과 관련해 퇴직연금 사업자를 비롯한 금융사들이 받아 가는 각종 보수와 수수료를 뜻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메리츠화재, 1조7천억 순이익 기록…역사적 최고 실적메리츠화재, 건강보험 판매 확대에 힘입어 작년 1조7천억원 순이익 기록, DB손해보험 제치고 업계 2위 자리 탈환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로 1등이라고 하는데”...은행권 퇴직연금 누가 진짜 선두하나·신한·KB은행, 작년 퇴직연금 적립금 1등 발표 DC·DB·IRP 총적립금 순증 선두는 하나 신한은 IRP증가, KB는 DC·IPR 누적규모 앞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계 독버섯처럼 번지는 사기꾼들”...SNS 확산의 그림자 [★★글로벌]日 SNS 관련 사기 피해 2.2배 급증 美피해액 45억弗...英·호주도 피해액 눈덩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형 투자 비중 지나치게 높은가글로벌 연금 전문가들이 한국 퇴직연금의 원리금 보장형 상품 투자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연금은 은퇴 후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해야 하므로 성장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 퇴직연금 적립금 중 원리금 보장형 상품 투자 비중은 2023년 말 기준 87.2%에 달한다. 영국은 개인에게 투자 책임을 덜어주는 신탁 기반 DC형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여 연금 대형화를 추진하는 반면, 한국은 개인에게 투자 책임을 모두 떠맡기는 DC형 제도 운영 중이다. 호주는 퇴직연금 세제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퇴직연금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수익률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수익률 2배 넘는 英퇴직연금 … 수익성 더 높이려 대형화 개혁퇴직연금 대개조 나선 영국연말까지 연금 개혁법안 통과소규모 DC형 펀드 통합하고운용사 경쟁 통해 수익률 제고연금자산 경제 활성화에 활용141조원 자국 인프라 등 투자가입률 낮은 韓 수익률도 저조수익률 2.5%로 英에 크게 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NEST, IFM과 50억파운드 투자 협력영국 최대 연기금 NEST는 호주 퇴직연금 기금들이 설립한 자산운용사 IFM인베스터스에 지분 인수를 통해 2030년까지 50억파운드 규모의 실물자산과 사모시장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