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동계 안팎에서 논란의 중심에 선 인물이 있다. 한석호 전태일재단 사무총장이다. 노동조합에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윤석열 정부 산하기구에 노동운동가가 참여해 파장이 컸다.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 전혜원 기자
최근 노동계 안팎에서 논란의 중심에 선 인물이 있다. 민주노총 금속산업연맹 조직실장, 민주노총 사회연대위원장을 지낸 한석호 전태일재단 사무총장이다. 그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 개혁’ 논의기구인 ‘상생임금위원회’에 전문가 위원 13명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노동조합에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윤석열 정부 산하기구에 노동운동가가 참여해 파장이 컸다.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윤석열 정부 ‘거수기’가 되리라는 비판도 많았지만, 전태일이라면 어떻게 했을지 상상했다. 자신보다 처우가 열악한 어린 여공들을 위해 풀빵을 사 먹이던 전태일이라면, 상생임금위원회가 아니라 위원회 할아버지라도 참여하지 않았을까. 취약 노동의 삶을 개선할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말이다.” 민주노총은 한 사무총장에게 위원직 사퇴를 요구했고 그는 거부했다. 한 사무총장은 1983년 대학에 들어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하다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반대투쟁’으로 감옥에 갔다.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왜 노동자들 사이에 격차가 이렇게 벌어졌을까. 물론 이런 시스템을 만든 건 역대 정부와 재벌이다. 하지만 그에 맞서 더 평등한 체제를 만들지 못한 노동운동은 책임이 없는지 고민하게 됐다.” 그는 상생임금위원회에서 ‘바깥 노동’ 문제를 의제화하려 한다. 바깥 노동이란 적정임금을 지불할 능력이 없는 중소기업의 노동자들과, 근로기준법도 제대로 적용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는 “지난 30년간 ‘토끼뜀’으로 임금을 높인 이들의 소득은 적절하게 조절하고, 같은 기간 거북이걸음에서 벗어나지 못한 바깥 노동의 소득은 사회적으로 보완하자”라고 주장한다. 예컨대 5인 미만 사업장도 근로기준법을 전면 적용하되, 이에 들어가는 비용은 노·사와 정부가 함께 기금으로 부담하는 식이다. 또한 임금체계 개편 이전에 하층 임금을 후하게 올리고 상층의 임금을 조금 올리는 ‘하후상박 연대임금’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절로 들어간 조폭, 불교계 항의 피할 수 있었던 이유절로 들어간 조폭, 불교계 항의 피할 수 있었던 이유 그_시절,_우리가_좋아했던_영화 정진영 박신양 달마야_놀자 박철관_감독 양형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끊이지않는 학폭]대법으로 간 학폭 소송···학폭 여부보다 ‘절차상 하자’가 쟁점“원고의 부모가 진정으로 원고를 사랑하고 그 장래를 염려한다면, 자녀의 주위 사람들을 적으로 돌려 소송·고소·진정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이 사건 처분을 반성과 성찰의 계기로 삼아 자녀의 언행에 개선할 점은 없는지, 교우관계에 문제점은 없는지를 객관적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 한국와이퍼 노동자들, 창원서 천막농성 등 투쟁하는 까닭경기 한국와이퍼 노동자들, 창원서 천막농성 등 투쟁하는 까닭 한국와이퍼 고용노동부 금속노조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전 대명사' 볼보 최고경영진 7명이 서울에 온 까닭'안전 대명사' 볼보 최고경영진 7명이 서울에 온 까닭 안전의_대명사 볼보_EX90 볼보_자동차 짐_로완_최고경영자 김종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따라붙자 시속 140km 밟았다…시민이 붙잡은 음주차량술에 취한 채 도로를 질주하던 20대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술 마시고 운전하는 걸 본 한 시민이 그 차를 계속 쫓아가면서 경찰에 위치를 알려준 겁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에 대한 한국의 판결, 그 의미전쟁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잘못된 일이지만, 그보다 더 잘못된 것은 범죄행위 자체를 부정하고 사죄하지 않는 것이다. 이 판결은 최근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 일제강점시대의 과거사 문제를 대하는 일본 정부의 미성숙한 시각과도 대비된다. ✔ 자세한 기사 보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