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잘못된 일이지만, 그보다 더 잘못된 것은 범죄행위 자체를 부정하고 사죄하지 않는 것이다. 이 판결은 최근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 일제강점시대의 과거사 문제를 대하는 일본 정부의 미성숙한 시각과도 대비된다. ✔ 자세한 기사 보기 ▶
전쟁 중 일어난 범죄 피해자의 손해배상 청구에 대해 가해국가가 가해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소멸 시효가 지나 소송 자체가 무효이며, 국가간 약정을 이유로 피해자가 직접 상대국에 소송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사건이 있습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사건과 똑닮은 이 사건은 바로 베트남전의 한국군 민간인 학살 피해자가 한국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입니다. 우리 법원의 판결은 일관되었습니다. 국가배상법을 근거로 상대국 피해사실을 인정하고 국가배상을 명해 성숙한 법치국가의 면모를 보여준 판결에 대해, 김제완 고려대 법전원 교수가 비평했습니다.
그 원인이나 목적이 무엇이든 선한 전쟁은 있을 수 없다. 이러한 전쟁터에서 '법질서'를 외친다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꼭 필요한 일이다. 전쟁의 참혹성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법은 전쟁 상황에도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쟁 당사자국 사이에 전쟁법을 준수해야 함은 국제법상의 대원칙으로 인정됨은 물론이고, 종전 후에는 필연적으로 전쟁과정 중에 저질러진 개인과 국가의 불법적 행위에 대해 민사 형사적 측면에서 단죄와 청산이 이뤄진다. 이 사건에서는 여러 가지 쟁점이 있었는데, 가장 치열하게 다투어진 것은 사실관계이다. 당시 생존자와 참전 군인 등의 생생한 증언에도 불구하고, 피고측에서는 가해사실 자체를 부인하면서, '한국군으로 위장한 베트콩의 소행' 등을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원고의 손을 들어준 것인데, 필자가 보기에는 피고측의 은폐행위가 법원의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사건 직후 중앙정보부가 상세한 조사를 했고, 당시 소대장들에 대한 조사기록은 현재까지도 국가정보원에 마이크로필름으로 남아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음에도 정부는 그 문서의 제출을 거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 매체 “한국 오마카세 열풍, 젊은이들 사치와 허세”일본 주간지 슈칸신초의 인터넷판 데일리신초가 한국의 오마카세 열풍을 두고 ‘젊은이들의 사치와 허세’라고 해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험한 등산로 선택했다가... 고립된 남자의 '최후 선택'위험한 등산로 선택했다가... 고립된 남자의 '최후 선택' 그_시절,_우리가_좋아했던_영화 케이트_마라 제임스_프랭코 127시간 대니_보일_감독 양형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