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0일 본회의를 열어 단독으로라도 11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한다고 한다. 또 여당과 원(院) 구성 이견이 계속되면 18개 상임위원장 모두를 가져갈 수 있다고 압박하고 있다. 여소야대 국회지만 국민의힘 의석(108석)이 전체의 36%나 되는 마당에 민주당이 '상임위 독식'을 운운하는 것은 비상식적이고 의회 민주주의에 반한다. 그런 자세로는 4·1..
더불어민주당이 10일 본회의를 열어 단독으로라도 11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한다고 한다. 또 여당과 원 구성 이견이 계속되면 18개 상임위원장 모두를 가져갈 수 있다고 압박하고 있다. 여소야대 국회지만 국민의힘 의석이 전체의 36%나 되는 마당에 민주당이 '상임위 독식'을 운운하는 것은 비상식적이고 의회 민주주의에 반한다. 그런 자세로는 4·10 총선 후 여야가 모색했던 협치를 입에 담기 힘들다. 다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은 국회 운영에 책임이 큰 만큼 밀어붙이기만 해서는 의회 권력의 정당성을 얻을 수 없다. 특히 상임위원회 장악 시도는 지난 7일 이화영 전 경기도 부지사의 유죄 판결로 사법 리스크가 커진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위해서라면 당장 멈춰야 한다.
민주당은 7일 법제사법·운영·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등 11개 상임위원장 후보 명단을 발표했다. 운영위원장에 박찬대 원내대표, 정청래·최민희 의원을 각각 법사위·과방위원장 후보로 배치했다. 대여 투쟁을 위해 강경파를 포진시켰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국회의장이 민주당 출신인 만큼 법안 통과 '관문'인 법사위는 여당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회 내부 균형과 견제를 위해 타당한 얘기다. 법사위원장까지 야당이 가져간다면 다수당 입법 폭주가 불가피하다. 당리당략적 법안이 소수당인 여당을 무시한 채 통과될 게 불 보듯 뻔하다. 16대 국회부터 제1당이 국회의장을, 2당은 법사위원장을 맡는 게 관례가 된 것도 이 때문이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야당 폭거에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국회 파행이 민생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택할 일이 아니다. 끝까지 야당과 협의해 원 구성을 서둘러 마쳐야 한다. 지난 5일 국회 첫 본회의가 야당 홀로 반쪽으로 시작된 데 이어 상임위원장 자리 다툼이나 하고 있으니 답답하다. 원만한 국회 운영을 위해선 의석수로 밀어붙일 게 아니라 타협과 양보의 미덕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협치는 말잔치에 그치게 되고, 정치 불신만 키울 뿐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巨野 폭주에 거부권 반복, 정쟁으로 끝나는 21대 국회 [사설]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재의를 요구했다. 윤 대통령 재임 중 10번째 거부권 행사를 놓고 야권은 대규모 투쟁 예고로 압박하고 있다. 25일 장외 집회와 28일 본회의 재의결 추진 등 오는 29일 국회 임기 만료 직전까지 민생 대신 폭주로 치닫는 모습이 가관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필리핀 대통령 호소도 패싱하네”...21대 국회 막내려 FTA 비준안 자동폐기마르코스 대통령 “조속한 비준” 요청 비준동의안 작년 말 국회 제출됐지만 상임위 논의 한 번 못하고 처리무산 정부 “22대 국회 열리면 즉시 제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협치는 개뿔…국회 시작부터 특검 대치 [핫이슈]22대 국회가 개원한지 일주일도 안됐지만 역시나 ‘민생’은 보이지 않는다. 야권은 채상병·김건희여사·대북송금(이상 민주당)·한동훈(조국혁신당) 특검법을 발의했고, 국민의힘도 김정숙 여사 특검법을 내놨다. 지난 1일 대통령 거부권과 국정 운영을 비판한 야당 장외집회를 보면 이번 국회도 암담해 보인다. 얼마 전까지 ‘협치’ 운운했던 게 믿기지 않는다. 개인적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 국회 첫날 '특검열차' 시동 건 巨野…강공 드라이브 예고(종합)(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계승현 기자=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22대 국회가 문을 열자마자 여권을 정조준한 특검법안을 앞세워 강공 드라이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1대 국회 마지막날까지 '巨野 입법강행 vs 거부권' 도돌이표(서울=연합뉴스) 김연정 홍지인 기자=여야는 21대 국회 임기 마지막 날인 29일에도 거대 야당이 밀어붙인 쟁점법안과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결국 明心에 달린것 아니냐”...‘나이 우대’ 깨는 민주당, 내부 불만 와글와글민주당, 운영위·법사위 고수하며 핵심 상임위 7곳 국힘 넘겨줄지 관심 국힘도 20일까지 상임위 접수 예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