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계승현 기자=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22대 국회가 문을 열자마자 여권을 정조준한 특검법안을 앞세워 강공 드라이브...
김주성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22대 국회의원들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중앙홀 계단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실천하는 개혁국회, 행동하는 민주당"이라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5.30 [email protected]총 183석에 달하는 의석수를 확보한 만큼, 22대 국회 초입부터 정국 주도권을 틀어쥐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채상병특검법은 지난 28일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재표결에 부쳐졌으나 여당의 반대로 부결됐다.박찬대 원내대표는 오전 정책조정회의에서"수사 은폐·조작의 몸통은 윤 대통령이고, 국무총리와 행안부 장관, 경호처장, 집권 여당이 공범인 정황"이라며"특검법을 빠르게 재추진해 해병대원 사건의 모든 의혹을 반드시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한병도·진성준·고민정 등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의원들은 국회 기자회견에서"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정부가 합작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한 것"이라며"윤 대통령은 당시 이 장관과 통화한 이유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으로 통화했는지 밝히라"고 요구했다. 이들은"윤 대통령은 왜 개인 휴대폰을 쓴 것인지, 또 개인폰 사용이 이번 통화 외에 또 있는지 밝혀야 한다"며"대통령의 개인폰 사용이 잦았다면 국가 운영 시스템과 대통령실 내부 의사결정 시스템이 완전히 무너졌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김주성 기자=22대 국회 개원 첫날인 30일 오전 조국혁신당 박은정·차규근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접수센터에서 한동훈 특검 법안을 접수하고 있다. 2024.5.30 [email protected]조국 대표는 22대 국회 개원 기자회견에서"'국회에서 싸움 좀 그만하라'고들 한다. 저희는 싸우겠다. 아주 독하게 싸우겠다"며"오로지 국민을 위한 아주 편향된 싸움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대신 채상병특검법은 제3당인 조국혁신당은 물론 개혁신당 등 다른 야당들도 '재추진 공조'를 약속한 만큼 상임위 구성이 완료되는 대로 심사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1대 국회 마지막날까지 '巨野 입법강행 vs 거부권' 도돌이표(서울=연합뉴스) 김연정 홍지인 기자=여야는 21대 국회 임기 마지막 날인 29일에도 거대 야당이 밀어붙인 쟁점법안과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巨野 폭주에 거부권 반복, 정쟁으로 끝나는 21대 국회 [사설]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재의를 요구했다. 윤 대통령 재임 중 10번째 거부권 행사를 놓고 야권은 대규모 투쟁 예고로 압박하고 있다. 25일 장외 집회와 28일 본회의 재의결 추진 등 오는 29일 국회 임기 만료 직전까지 민생 대신 폭주로 치닫는 모습이 가관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경호 '巨野 일방독주 없다면 재의요구권 행사도 없다'(종합)(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조다운 기자=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29일 '22대 국회를 여는 즉시 여야가 이미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룬 민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탄핵 시동 건 야당 “채 상병 특검법 거부시 탄핵 사유”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에 시동을 걸고 있다. 대통령실의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이 탄핵소추의 근거다. 야당은 사건의 피의자가 될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회의원 조국 일성 '국민위해 독하게 싸울 것, 끝장 본다'22대 국회 첫날 의원 12명 전원 각오 밝혀... "검찰독재 종식, 사회권 선진국 기초 닦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선 끝나자 아무일도 안한 의원님들…법안 합의처리 1건 ‘최악의 국회’일하는 국회법 취지 무색하게 정보위 4년간 겨우 28회 개회 첫단추부터 원구성 독식 ‘파행’ 尹·李의혹때마다 상임위 거부 4·10 총선이후 입법활동 방관 이태원특별법 1건만 합의처리 20대 219건·19대 129건 통과 22대서도 상임위 갈등 불보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