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무실 칠판에 빼곡히 적힌 숫자... 소름이 돋았다 다음소희 죽음의현장실습제도_이제그만, 홍수연을기억합니다,_죽음의현장실습제도 명숙 기자
영화를 보는 내내 2017년에 했던 활동이 떠올라 아쉬웠고 답답했다. 영화의 배경이 된 기업체에 파견하는 형태의 현장실습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고, 현장실습을 나간 청소년, 청년들이 여전히 차별받고 다치고 죽고 있기 때문이었다.는 2017년 LGU+ 콜센터 현장실습생 고 홍수연씨의 사망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당시에 나는 대책회의 활동을 하면서 홍수연씨의 아버지 홍순성씨를 처음 만났다. 청소년노동인권단체들만이 아니라 여러 시민사회단체단체들이 모여 를 꾸렸다.
대책회의는 서울 용산에 있는 LGU+ 본사에 가서 문화제도 열고 집회도 하고, 국가인권위에 진정도 했다. 업체에 파견하는 형태의 현장실습은 꼭 없애자고 다짐하며 노력했지만 없애지 못하고 몇 개의 사항만 조금 개선됐다. 여전히 영화의 대사처럼 직업계고 학교는 회사에 값싼 인력을 대주는 인력파견업체다.영화는 너무나 사실적으로 현장실습제도를 다루고 있다. 감독이 얼마나 꼼꼼히 조사하고 각본을 썼는지 느껴졌다. 현장실습제도는 국가가 만든 것이지만, 교육부도 노동부도 현장실습을 나간 학생이 겪는 부당함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 오유진 형사의 대사처럼 학교는 기업에 값싼 인력을 공급해주는 인력파견소의 역할을 할 뿐이다.더 끔찍한 것은 이것이 개별 사건이나 개별학교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취업률에 따라 학교가 받는 지원금이 달라지는 현실에서 선생님들은 부당한 업무나 괴롭힘을 하는 회사에서 나와 학교로 돌아오려는 학생들을 막아선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콜센터 실습생의 비극 “다음 소희가 없길…”도희와 소희. 정주리 감독이 연출한 두 편의 장편영화 주인공 이름은 둘 다 ‘희’로 끝난다. 〈도희야〉의 도희는 학대받는 소녀다. 감독의 중학교 때 친구 이름에서 따왔다. 〈다음 소희〉의 소희는 권여선 작가의 소설 ‘손톱’에서 가져왔다. 판매원으로 일하며 받은 월급에서 월세와 대출금을 제하고 남은 18만원으로 한 달을 사는 스물한 살 여성이다. 소설을 읽고 감흥을 받아 영화에 그 이름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음 소희〉의 소희도 돈을 번다. 고등학생이지만 콜센터에서 일한다. 더 이상 ‘다음의 소희’가 없길 바라며 쓰고 찍었다. 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소연에 '누칼협' 조롱... 이런 곳에선 누구도 못 버틴다하소연에 '누칼협' 조롱... 이런 곳에선 누구도 못 버틴다 다음소희 현장실습생 노동 이주영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학엔 교무실 지켜라?...사서 없는 학교도서관[앵커]학교도서관이 방학 때면 자주 문을 닫고 책이 아무렇게나 꽂혀있던 경험 있으신가요?사서가 방학 중에 며칠 이상 근무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학교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장아영 기자입니다.[기자]뱀에 대한 책을 찾는 아이에게 한 사서는 뱀 사육 책을, 한 사서는 뱀 가죽 공예 책을, 한 사서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게 학교입니까? 인력파견소지'... 한국의 현실입니다'이게 학교입니까? 인력파견소지'... 한국의 현실입니다 다음소희 홍수연 정주리 산재사망 배두나 정석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열흘남짓 남았는데 예산안 '안갯속'…정부 '정책추진 차질'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지인 박경준 기자=올해를 열흘 남짓 남긴 20일에도 여야는 내년도 예산안 처리 협상에서 여전히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대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흥국생명 연패, 세터 난조·감독 전술 패착 '집중 부각'흥국생명 연패, 세터 난조·감독 전술 패착 '집중 부각' 흥국생명 KOVO 관중 권순찬 김연경 박진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