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F다이어리] 반도체 다음의 '대체불가기술'은?

대한민국 뉴스 뉴스

[SDF다이어리] 반도체 다음의 '대체불가기술'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5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63%

반도체 다음의 '대체불가기술'은? SBS뉴스

요즘 같은 전환기, 특히 특정 국가가 어떤 전략 기술을 가지고 있는가가 그 나라의 안보와 동맹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소위 기정학의 시대를 맞아, 새삼 첨단 기술에 매진해오고 있는 과학자들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 요즘입니다.[1] 특훈교수는 KAIST가 교내 교수 중 세계적 수준의 연구업적과 교육성과를 이루고 그 전문분야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교수 중 선발하는 교내 최고의 명예로운 직이다. 교수 총정원의 3% 이내에서 선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훈교수로 선발되면 특별인센티브가 지급되고 정년 이후에도 비전임직으로 계속 근무할 수 있는 특전이 주어진다. 이미지 확대하기 이미지 확대하기 지난 2010년"풀잎에서 플라스틱을: 산업 바이오, 석유화학산업에 도전장"이라는 제목으로 저희 SDF 연사로 섰던 이상엽 교수를 다시 만난 것은 13년 만이었습니다.

보통 박테리아는 우리 피부에도 있고 장에도 있고 온 곳에 다 있잖아요. 그런데 거기 있는 이유가 자기들 밥 먹고 자라서 번식하는 게 목적인데요. 그런데 보니까 박테리아가 소위 무슨 항생제나 항암제도 만든다는 것을 발견한 거죠. 그런데 워낙 미량을 만드니까 이제 과학으로 어떻게 하면 대량 생산해서 지금의 80억 인구에게 혜택을 줄 수 있을까 이런 연구를 하는 것이 '대사 공학' 학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3] 엔지니어링이란 공학을 의미하며 기술적 문제를 발견하고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학문이다. 이미지 확대하기 '대체불가 기술'은 [5] '바이오매스'란 원래"생물량"이라는 생태학적 용어였으나 현재는 에너지화할 수 있는 생물체량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녹색식물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물과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전분, 당 또는 섬유소를 합성하고 이를 식물에 저장한다. 동물은 식물을 먹고 자라며 동식물은 미생물에 의하여 종국적으로 탄산가스와 물 등의 무기물로 분해되어 하나의 순환과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중에 관련된 모든"유기체"를 일컬어 바이오매스라 하며 이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식물 자원이다.

그리고 한 스텝 더 나가서 큰 문제만 본 게 아니라 생활밀착형 작은 이슈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출장 갔을 때 우연히 약을 사러 갔다가 아이들 감기약을 보게 됐는데, 보통 잘 먹게 하려고 넣는 향이 포도향인데 보니까 석유에서 만든 화학물질이더라고요. 우리가 그동안 모르고 애들한테 석유를 먹이고 있었던 거예요. 그래서 이것은 아니다 싶어 그것도 발효로 만들었습니다. 말은 이렇게 쉽게 하지만 쉽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이것도 5년 연구해서 만들었습니다.저희 연구실은 실험을 하는 웻팀과 컴퓨터만 가지고 하는 인실리코팀이 있는데, 코로나가 터졌을 때 인실리코팀장에게 전화해서 우리가 알고리즘을 써서 도움을 줘보자 해서 들여다본 게 보통 65세 넘는 사람은 하루에 평균 다섯 종류의 약을 먹습니다. 다 임상적으로 허가를 받은 약인데, 문제는 섞어서 먹어도 되는지에 대한 결과가 많지가 않아요. 1년에 그 이슈로 죽는 사람이 미국에서만 10만 명이라고 하더라고요.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프] 한국도 예외 없다, 미국이 반도체 산업 들쑤시는 이유는?[스프] 한국도 예외 없다, 미국이 반도체 산업 들쑤시는 이유는?깐깐해서 남 주자 깐깐남 세 번째 시간, 오늘은 반도체 이야기입니다. 미국이 자꾸 우리 반도체 산업, 기업들을 툭툭 건드린다는 기사들이 쏟아집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넷마블, 김남국 마브렉스 억대차익 논란에 '개인투자 관여 안해' | 연합뉴스넷마블, 김남국 마브렉스 억대차익 논란에 '개인투자 관여 안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가상화폐 '마브렉스'(MARBLEX·MBX) 발행사인 넷마블[251270]은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이 가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미국 반도체 수입 13%↑…공급망 재편에 인도 · 한국 등 늘어올해 미국 반도체 수입 13%↑…공급망 재편에 인도 · 한국 등 늘어올해 1분기 미국의 반도체 수입이 13%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1일 보도했습니다. 또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크게 줄어든 반면 인도와 캄보디아는 큰 폭으로 증가했고, 한국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대학 경제학과에서 ‘경제발전론’은 왜 사라졌을까한국 대학 경제학과에서 ‘경제발전론’은 왜 사라졌을까어느새 한국의 대학 거의 대부분 경제학과에서 ‘경제발전론’이란 과목이 사라져버렸다. 경제발전론뿐 아니라 이른바 ‘주류’인 신고전학파 이외의 다양한 경제학 강좌들(경제학설사, 경제사, 정치경제학, 경제체제론 등)이 모두 말살되어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경향은 국립대학보다는 사립대학 경제학과의 경우가 훨씬 심하다. 그러나 신고전학파만으로 경제적 현상을 해석하고 유효한 대안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어도 될까? 따져보면, 신고전학파는 현실적·역사적 맥락을 무시한 몇몇 경직된 가정에 기초해 인간의 모든 문제를 수학적 방정식의 해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남국 코인 추적'은 블록체인 경제의 순기능이었나'김남국 코인 추적'은 블록체인 경제의 순기능이었나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이 소유한 가상자산 규모에 국민적 관심이 뜨겁습니다. 김 의원은 5월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대국민 사과문에서 '모든 거래는 실명 인증된 계좌를 통해 제 지갑으로만 투명하게 거래'했고,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거나 상속 증여받았다는 것 역시 터무니없는 허위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가상자산을 매각하라는 당의 권고와 진상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능선 따라 빼곡히 들어선 가야의 무덤…'역사·문화의 타임캡슐' | 연합뉴스능선 따라 빼곡히 들어선 가야의 무덤…'역사·문화의 타임캡슐'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한국의 16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확실시되는 '가야고분군'(Gaya Tumuli)은 한국 고대사의 한 축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5:3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