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뉴스

[여적]‘아침이슬’ 김민기 별세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김민기의 노래는 슬프다. “우리 부모 병들어”로 시작하는 ‘서울로 가는 길’이나 1970년대 가난한 농촌의 현실을 “돈 벌러 간 울 언니는 무얼 하는지”로 묘사한 ‘식구생각’...

김민기의 노래는 슬프다. “우리 부모 병들어”로 시작하는 ‘서울로 가는 길’이나 1970년대 가난한 농촌의 현실을 “돈 벌러 간 울 언니는 무얼 하는지”로 묘사한 ‘식구생각’은 물론, 경쾌한 동요 ‘천리길’도 아이들의 티 없이 맑고 씩씩한 기상이 도리어 슬프다. “집집마다 흰 연기 자욱하게 덮히니/ 밥 냄새 구수하고 아이들을 부르는 엄마 소리” 같은 대목에선 이 땅과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을 향한 애정이 오롯이 느껴진다.

그의 노래가 슬픈 건 사람을 포함해 무릇 생명을 가진 유한한 존재의 본질이 슬픔이기 때문인지 모른다. 이 말은 김민기의 시선이 존재의 본질에 닿아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존재의 본질에서 길어내는 슬픔은 고즈넉한 슬픔이다. 그것은 윤동주의 시 ‘자화상’의 화자처럼 내면의 우물을 찬찬히 응시해야 얻을 수 있는 성찰적 슬픔이다. 나와 너는 슬픈 존재로 이어져 있다는 감각이야말로 연민과 연대의 참된 기초일 것이다. 그 감각은 당대에 슬픔을 체현한 것으로 보이는 존재들, 노동자와 농민, 도시 빈민·기지촌 여성·광부·아이들에 대한 관심으로 향하는 게 자연스럽다. 김민기의 노래는 현실을 고발할 때조차 큰 소리로 외치거나 주장하지 않는다. 그저 사람들의 삶을 담담하게 이야기할 뿐이다. 그럴 때 우리말의 결을 한껏 살린 그의 언어는 더없이 단순하고 투명하다. 무엇보다, 탁월하게 서정적이다.

김민기와 같은 성찰형 인간에게 어울리는 말은 이념·전략·전술보다 사람됨의 도리이다. 흔히 그런 말은 현실을 가리는 공리공담이 되기 십상이지만, 누군가 그것을 견결한 실천강령으로 삼을 경우 어떤 이념보다 강력한 실천적 효과를 갖는다. 그 서슬 퍼런 시대에 김민기가 을 녹음하고, 민주화 이후 학전을 만들고, 어린이극을 개척하고, 극단을 민주적으로 운영하고, 끝내 ‘뒷것’으로 남은 배경도 결국 그것이었는지 모른다. 한국 대중음악과 공연예술에 큰 획을 그은 김민기가 지난 21일 위암으로 별세했다. ‘아침이슬’이라는 노래 하나만으로도 우리 모두는 김민기에게 빚을 지고 있다. 삶과 예술이 합일하는 드문 경지를 보여준 김민기는 위대한 예술가이자 그의 노래 제목처럼 ‘아름다운 사람’이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속보]‘아침이슬’ 작곡가 김민기 별세···대학로 문화의 상징이 졌다[속보]‘아침이슬’ 작곡가 김민기 별세···대학로 문화의 상징이 졌다학전 김민기 대표가 21일 세상을 떴다. 향년 73세. 학전은 22일 이 같은 소식을 알렸다. 고인은 ‘아침이슬’ 같은 명곡을 만든 작곡가이자, 학전 소극장으로 대학로 문화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민기, 혼돈의 시대 청년정신 심어줘…'아침이슬'보다 맑았다''김민기, 혼돈의 시대 청년정신 심어줘…'아침이슬'보다 맑았다'(서울=연합뉴스) 이영재 이태수 오명언 기자=가수 겸 공연 기획자 김민기의 별세 소식이 알려지면서 대중문화계는 22일 일제히 추모의 뜻을 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침이슬’ 김민기 “세월호, 나는 그 죽음을 묘사할 자격이 없다”‘아침이슬’ 김민기 “세월호, 나는 그 죽음을 묘사할 자격이 없다”학전이 세 든 건물 4층에 위치한 김민기의 사무실은 극단 대표의 집무실이라기보다는 은거하는 수도자의 토굴 같았다. 91년 학전 개관 때부터 지금까지 그가 기획하고 제작한 각종 공연물 자료와 참고서적이 사람 하나 겨우 지나다닐 만한 통로만 남겨두고 천장까지 가득 찼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온라인서도 추모 물결…'진주보다 고운 아침이슬 김민기'온라인서도 추모 물결…'진주보다 고운 아침이슬 김민기'(서울=연합뉴스) 이태수 오보람 기자=가수 김민기가 지난 21일 위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고인을 추모하는 문화계의 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저 고맙다” 유언 남기고 떠난 학전 김민기 대표“그저 고맙다” 유언 남기고 떠난 학전 김민기 대표암투병하다 별세···향년 73세 한국 싱어송라이터의 시초 ‘아침이슬’ ‘상록수’ 등 불러 독재 시절 저항의 상징으로 91년 연 대학로 소극장 ‘학전’ 김광석·설경구·황정민·조승우 등 수많은 가수·배우들의 산실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움의 밭' 대학로 소극장 이끈 김민기 별세…향년 73세(종합)'배움의 밭' 대학로 소극장 이끈 김민기 별세…향년 73세(종합)(서울=연합뉴스) 임순현 최주성 기자=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여년간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배출해 온 가수 김민기가 21일 별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2 00: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