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한국이 싫어서

기후위기 뉴스

[시선]한국이 싫어서
한전반도체초고압송전탑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9 sec. here
  • 5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3%
  • Publisher: 51%

얼마 전, 기후위기 시대를 맞닥뜨리며 삶을 생태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도시에서 농촌지역으로 삶터를 옮겨 생활하는 청년여성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들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기...

얼마 전, 기후위기 시대를 맞닥뜨리며 삶을 생태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도시에서 농촌지역으로 삶터를 옮겨 생활하는 청년여성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들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기후와 수도권을 위해 다른 지역민들의 삶의 터전이 파괴되는 것을 왕왕 목격하고 걱정과 분노를 쏟아냈다. 최근 이들은 막 자리 잡아 살기 시작한 농촌지역에 초고압 송전탑이 들어선다는 소식을 접했다. 한국전력이 전북 부안과 고창, 전남 신안 등의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소위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삼성과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이 들어설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에 전송하기 위해 초고압 송전탑 250개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송전탑들은 전북 무주, 진안, 장수와 충북 영동, 충남 금산, 그리고 경남 거창과 함양에 들어선다는데 해당 지역 주민들도 모르게 결정된 일이었다. 한전이 이런 식으로 일을 추진하는 데엔 1978년 박정희 정권하에서 입법된 ‘전원개발촉진법’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전송된 전기가 도착해 쓰이게 될 반도체 산업이란 것도 생명이 온전히 잘 살기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역시 문제적이다. 반도체 산업 자체가 이미 온실가스 배출량의 5%를 차지할 만큼 전력 소비를 많이 하는 데다 물 부족 국가로 거론되는 한국에서 삼성 반도체 하나가 사용하는 물만도 하루 평균 31만t이고 반도체 산업단지가 전격 가동되게 되면 매일 76만t의 물이 사용될 것이라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반도체 관련 소재, 부품, 그리고 장비 생산 공정에서 발암성, 유전독성, 생식독성 등을 가진 유해화학물질이 사용되는데 영업비밀 보호라는 명목으로 작업장 환경 정보는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다. 반도체 기업에서 인근 지역으로 배출하는 폐수, 휘발성 화합물, 유독가스, 고형폐기물이 반도체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인근 거주민들의 건강을 해치고 주변 생태계를 파괴해 생명이 깃들어 살기 어렵게 만들어도 정부는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

생활인구와 출산 급감으로 ‘지방소멸’을 걱정한다는 지자체들은 중앙부처에서 돈 내려온다고 덥석덥석 받아서는 안 된다. 본인 임기 내에 뽑아먹을 이익이나 챙기면 그만이라는 생각이 아니라 진정으로 지역의 미래를 걱정하고 대비하고 싶다면 기후위기 시대에 지역민들의 좋은 삶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고민할 책임이 있다. 는 얼마 전 개봉된 영화다. 미래가 안 보이는 한국에서의 고달픈 삶을 뒤로하고 새로운 꿈을 꿔보기 위해 뉴질랜드로 떠난 한 청년여성의 분투를 다룬다. 이런 중 수도권이 아니라 소도시나 농촌에서 새로운 꿈을 펼쳐보기 위해 국내 이주한 청년여성들도 있다. 지역 소도시와 농촌을 선택해 삶을 일구려 애쓰는 기후위기 시대의 청년들이 무얼 바랄까? 한국이 싫다는 말 대신 소도시와 농촌의 삶이 살 만하고 좋구나 하는 말을 들어보고 싶다. 그런 나라에서야 미래가 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지구가 계속 가열되고 있는데도 불난 집에 부채질하듯 개발사업만 계속되어선 안 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한전 반도체 초고압송전탑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직 ‘한국이 싫어서’ 돌아오지 않는 청년들 [아침햇발]아직 ‘한국이 싫어서’ 돌아오지 않는 청년들 [아침햇발]황보연ㅣ논설위원 2015년 12월, 오스트레일리아(호주)로 가는 비행기에 무작정 몸을 실었다. 한국이 싫어서, 떠났다는 청년들의 ‘탈조선’ 사연 을 취재하기 위해서였다. 수소문 끝에 ‘워홀러’(워킹 홀리데이 메이커)로 머무르는 한국 청년 15명을 만날 수 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이 싫어서' 떠난 고아성, 꼭 그 질문을 해야 했을까'한국이 싫어서' 떠난 고아성, 꼭 그 질문을 해야 했을까거 어디 출신이오? 영어로 하면 '웨얼 아 유 프롬 Where are you from?', 그러니까 나는 누구와 처음 만나 사귈 때는 출신지를 묻는 게 국제표준인 줄 알았지 뭔가. 자매품으로는 '하우 아 유 How are you?', 또 그에 대한 응답으로는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I'm fine, thank you. And you?'하고 근황을 나누는 것이 자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해리스의 공통점... 한국은 이래저래 큰일 났다트럼프-해리스의 공통점... 한국은 이래저래 큰일 났다[강명구의 뉴욕 직설] 미국 대선 이후 한국이 취해야 할 균형 잡힌 외교 전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손해 보기 싫어서’ 신민아 “축의금 때문에 가짜 결혼? 생각도 못했다”[인터뷰] ‘손해 보기 싫어서’ 신민아 “축의금 때문에 가짜 결혼? 생각도 못했다”tvN X 티빙 ‘손해 보기 싫어서’ 인생도 사랑도 적자는 싫은 손해영 役 “손가락 욕·비속어 장면, 재밌고 통쾌했다” “웃기다는 반응 뿌듯…로코 연기 계속 하고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손해 보기 싫어서’ 한지현 “이상이와 19금 키스신, 이게 맞나 싶어”[인터뷰] ‘손해 보기 싫어서’ 한지현 “이상이와 19금 키스신, 이게 맞나 싶어”tvN X 티빙 ‘손해 보기 싫어서’ 모태솔로 19금 웹소설 작가 남자연 役 “상대역 이상이에 의지 많이 했다” “‘펜트하우스’·‘치얼업’ 이을 작품 만나고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싫어서' 해외 떠난 청년들의 진짜 속내'한국 싫어서' 해외 떠난 청년들의 진짜 속내(*이 기사는 작품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싫었다. 숨 막히는 경쟁, 끊임없는 비교, 그리고 그 속에서 나다운 삶을 살 수 없다는 절망감이 나를 짓눌렀다. 사회는 우리를 'N포 세대'라 불렀다. 취업, 연애, 결혼, 집 마련, 심지어는 꿈까지 포기해야 한다고 했다. 나의 20대는 무기력하고 답답했다.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07: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