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도체보조금 약속 뒤집으려는 미국, ‘불량 국가’인가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사설] 반도체보조금 약속 뒤집으려는 미국, ‘불량 국가’인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4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3%
  • Publisher: 53%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지명자가 30일 ‘미국 우선주의’를 핵심으로 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정책 얼개를 공개했다. 그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보조금 지급과 세금 혜택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10% 보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지명자가 30일 ‘미국 우선주의’를 핵심으로 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정책 얼개를 공개했다. 그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상 보조금 지급과 세금 혜택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10% 보편관세 부과 대상에 동맹국도 예외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반도체·자동차·가전 등 한국의 주력 산업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메가톤급 정책들이 속속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우리 정부도 만반의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미국 통상정책을 총괄하는 장관 후보자가 이날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 사항을 재확인함에 따라 초강경 통상정책의 현실화가 코앞에 닥쳤다. 러트닉은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법 취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재검토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보조금을 받기로 미국 정부와 확정한 계약을 이행하겠느냐’는 한 의원의 질문에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하겠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보조금을 미끼로 대규모 투자를 압박해 유치해놓고선 대통령이 바뀌었다고 그 계약을 재검토하겠다는 건 국가 간 신뢰 관계를 허무는 행위다. 한국 반도체기업들의 미국 투자는 한국 내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희생하며 선택한 고육책이었는데,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는 건 받아들이기 어렵다. 러트닉은 인플레이션감축법상 리스용 전기차 세액공제도 반대한다는 뜻을 밝혀 한국 자동차업체들도 불이익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러트닉은 또 미국이 무역 거래에서 세계로부터 존중받지 못했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유럽·일본·한국 같은 동맹국들도 자국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 “미국의 선의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그 사례로 한국의 가전산업을 언급하며 “이제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상품 생산을 미국으로 가져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현지 생산을 유도하고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고자 관세를 도구로 사용하겠다고 했다. 중국에는 고율 관세를, 동맹국에도 나라에 따라 보편관세를 매기겠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무역의 ‘상호성’을 회복하기 위한 조처라고 강변했다. 지난 수십년간 국제무역 시스템에서 각국이 비교우위 원리에 따라 상호 간에 이익을 봐왔는데, 이를 외면하고 미국만 손해를 봤다는 해괴한 논리다. 미국은 자본주의 종주국답게 계약상 신의성실의 원칙과 자유무역주의를 준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국이 ‘불량 국가’로 전락했다는 손가락질을 받을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취임 첫날부터 남부 국경·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78개 행정 조치 중단트럼프, 취임 첫날부터 남부 국경·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78개 행정 조치 중단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남부 국경과 에너지 분야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바이든 행정부의 78개 행정 조치를 중단하는 등 강경한 정책을 선언하며 미국 국내외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실용·성장’ 앞세운 이재명, ‘분열된 국가’ 해법도 내놔야[사설]‘실용·성장’ 앞세운 이재명, ‘분열된 국가’ 해법도 내놔야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념과 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며 “탈이념·탈진영의 현실적 실용주의가 위기 극복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LA 산불 진압도 양극화···갑부촌 지키는 ‘하루 1500만원’ 사설 소방LA 산불 진압도 양극화···갑부촌 지키는 ‘하루 1500만원’ 사설 소방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대형 산불에 따른 피해가 반복되자 사설 소방업체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취임사서 '미국 위대함' 약속…강경 정책 강조트럼프, 취임사서 '미국 위대함' 약속…강경 정책 강조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는 강경한 정책들을 제시하며 미국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하고 강력하며 존경받는 국가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이와 함께 전임 정부를 비판하며 '미국 쇠퇴'를 되돌리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미국 주요 언론과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운동과 지지자 집회에서 언급했던 내용을 반복하며 지지자들의 만족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통합을 강조해 온 과거 대통령들과는 다른 태도라고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미국 외 국가 저성장 지속, 신속한 의사결정과 선제 대응 필요”“올해 미국 외 국가 저성장 지속, 신속한 의사결정과 선제 대응 필요”2025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 과감한 전략 수정과 적응력 중요성 부각 3가지 성공 요인과 5가지 대응 전략 제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진핑은 취임식 초청받았는데… '순위 밖' 밀린 필리핀, 동맹 균열 우려시진핑은 취임식 초청받았는데… '순위 밖' 밀린 필리핀, 동맹 균열 우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동남아시아 가운데 대표적 ‘친미 국가’로 꼽히는 필리핀이 긴장하고 있다. 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6 21:2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