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동관 “87년 민주화투쟁 과정서 ‘법 좀 무시하면 어떠냐’ 의식 심어져”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단독]이동관 “87년 민주화투쟁 과정서 ‘법 좀 무시하면 어떠냐’ 의식 심어져”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3%
  • Publisher: 51%

차기 방송통신위원장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이 2019년 공저자로 출간한 저서에서 “민주화투쟁 과정에서 심어진 ‘법 좀 무시하면 어떠냐’는 왜곡된 법의식이 사회 기저에 깔려 있다”고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홍구 교수 “법의식이 왜곡 됐다는 발상 자체가 왜곡된 것”‘좌담-추락하는 대한민국, 미래를 묻다’라는 소제목이 붙은 책 서두 부분에서 그는 “기자 시절이던 1987년 민주화 항쟁 직후 술 취한 사람들이 파출소에 와서 방뇨하고 기물을 부수며 ‘너희는 독재권력의 주구인데 술 좀 먹고 방뇨한 게 무슨 문제가 되냐?’고 행패를 부리는데, 경찰관들이 속수무책 당하던 상황이 생생하다”고 적었다. 이에 대담자인 이재교 세종대 법학과 교수가 “ 칼 찬 순사인데요?”라고 맞장구치자, 이 특보는 “칼 찬 순사를 보는 의식구조가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일제 잔재인 칼 찬 순사 이 녀석, 내가 민주시민인데’ 이런 생각이다”라고 했다.

이 특보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한홍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는 “법의식이 왜곡됐다는 발상 자체가 왜곡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교수는 “당시에는 법 자체가 권력의 도구가 됐기 때문에 투박한 방식의 저항이 나올 수밖에 없던 상황”이라면서 “경찰에 맞아 죽은 사람이 얼마나 많았는데, 방뇨 사례 하나를 가져와 그런 말을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인권을 침해하고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아 갔던 국가의 과거에 대한 성찰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그의 저서에는 집회와 시위 등 시민들의 단체행동을 일탈적이거나 병리적인 현상으로 보는 시각도 담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나남에서 출간한 이 특보의 자서전 에서는 청와대 대변인 재직할 때인 2008년 벌어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에 관해 서술하며 일본의 ‘옴진리교 사린가스 테러’ 사건에 빗대기도 했다.이 특보는 책에서 “ 촛불사태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누적된 좌절과 울분이 표출된 측면도 있다”며 “사회 내부의 축적된 울분이 극단적으로 폭력적 양상을 띠게 되는 경우에는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적었다. 곧이어 “내가 동아일보 도쿄 특파원으로 있으면서 목격했던 옴진리교 신자들의 ‘지하철 사린가스 테러’ 사건이 대표적인 예”라고 썼다. 이 특보가 언급한 사건은 1995년 3월 일본 도쿄에서 옴진리교 관계자들이 세뇌된 광신도들을 동원해 지하철에서 독가스인 사린을 살포해 수많은 사상자를 냈던 테러 사건이었다.

차기 방통위원장 지명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특보의 과거 발언과 글도 검증 대상이 되고 있다. 그는 2019년 6월 극우 성향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선 “보수 우파의 제대로 된 분들은 지상파를 보지 않는다”고 했다. 다른 부분에서는 ‘중도강화론’을 설명하며 “뉴라이트 운동이 당시 좌편향되었던 한국 사회를 좀 더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합리적 자유주의 가치를 사회 저변에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하나고, 2012년 이동관 아들 학폭 사건만 학폭위 안 열었다[단독] 하나고, 2012년 이동관 아들 학폭 사건만 학폭위 안 열었다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의 학교폭력 사건이 불거졌던 2012년, 하나고등학교가 ‘장난감 총으로 위협’하거나 ‘뒤통수를 때렸다’는 이유로 학교폭력자치위원회(학폭위)를 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하나고는 이동관 특보의 아들의 학폭 사실을 인지했지만 학폭위를 개최하지 않고 이 특보 아들을 전학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아들이 전학하는 과정에 이 특보가 개입됐다는 의혹이 함께 불거졌다.〈시사IN〉이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2012학년도 이후 하나고 학생 대상 학교폭력 현황’ 자료를 보면, 2012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이동관 “또 딸인 것 같아 낙태 병원 소개받으려 했다”···이번엔 SNS 설화[단독]이동관 “또 딸인 것 같아 낙태 병원 소개받으려 했다”···이번엔 SNS 설화남아선호사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언론인 출신으로 청와대에서 고위공직을 지낸 이의 글로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고민정, 2010년 이동관 개입 의혹 국정원 보도지침 문건 공개...한덕수 답변 거부[영상] 고민정, 2010년 이동관 개입 의혹 국정원 보도지침 문건 공개...한덕수 답변 거부고민정 민주당 의원이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방송통신위원장 내정설이 나오는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 특보가 개입한 의혹이 있는 2010년 보도지침 성격의 국정원 문건을 공개했다. 한덕수 총리는 문건을 본 적이 있느냐고 묻는 고민정 의원 질문에 국회법상 미리 질문 요지를 안 줬다며 답변을 거부했다.14일 대정부 질문에서 고민정 의원은 “보도지침은 두 번 다시는 우리 사회에서 발을 붙이지 않아야 하지만 보도지침의 망령이 부활한 치욕스러운 문건을 보여드리겠다”며 문건을 화면에 띄우고 “방송사 지방선거기획단 구성 실태 및 고려사항이라는 제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MB 때 이동관 ‘국정원 선거개입 보도지침’ 지시 문건 나와MB 때 이동관 ‘국정원 선거개입 보도지침’ 지시 문건 나와현재 방송통신위원장 유력후보로 거론되는 인물이 이명박 정부 때 이 같은 **국정원 선거개입 보도지침**을 지시하고 보고받았다니 충격적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말다툼·째려보기’도 학폭위 연 하나고···‘책상 300번’ 이동관 아들은 왜 봐줬나‘말다툼·째려보기’도 학폭위 연 하나고···‘책상 300번’ 이동관 아들은 왜 봐줬나반면 이 특보 아들의 경우 피해 학생들이 “이유 없이 팔과 가슴을 수차례 때렸다” “침대에 눕혀서 밟거나 험악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책상에 머리를 300번 부딪히게 하는 등 행위를 했다” 고 진술했음에도 학폭위조차 열리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동관 아들 학폭위 안 연 하나고, ‘장난감 총 위협’은 학폭위 개최이동관 아들 학폭위 안 연 하나고, ‘장난감 총 위협’은 학폭위 개최신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거론되는 이동관 대통령 특보 아들에 대해선 학교폭력위원회를 열지 않았던 하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1 22: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