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국내 유통가의 최대 화두는 단연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다. 차이나 e커머스(C커머스)의 대표 주자인 두 기업은 지난 3월 기준 각각 국내 이용자 수가 800만명을 넘으면서 쿠팡에 이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11번가·G마켓 등 10년 이상 영업해온 기업들을 불과 1년 남짓의 짧은 시간 안에 제치면서 한국 유통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한 대형 유통..
올해 들어 국내 유통가의 최대 화두는 단연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다. 차이나 e커머스의 대표 주자인 두 기업은 지난 3월 기준 각각 국내 이용자 수가 800만명을 넘으면서 쿠팡에 이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11번가·G마켓 등 10년 이상 영업해온 기업들을 불과 1년 남짓의 짧은 시간 안에 제치면서 한국 유통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한 대형 유통사 최고경영자는"불과 50여 일 만에 조선 인조의 무릎을 꿇렸던 17세기 청나라의 침략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캐릭터 문구, 자동차 용품, 생활 소품 등을 불과 몇천 원의 초저가로 구매할 수 있는 알리·테무는 소비자 입장에선 일견 매력적이다. 문제는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물건들이 인체 유해성 등 안전성 검증이 전혀 안됐고, 짝퉁도 걸러지지 않고 불법으로 유통된다는 것. 산업적으로도 국내 e커머스와 중소기업들의 생존을 위협한다.
우리 정부도 최근 대책 강구에 나섰지만, 벌써부터 과도한 규제가 자칫 중국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신중론이 팽배하다. 그들이 강대국이라고 해서 눈치만 살피면 국제적인 호구가 될 뿐이다. 국내 대형마트와 온라인 플랫폼 등 규제에만 골몰하는 공정거래위원회도 번지수를 잘 짚어야 한다. 정부가 지금 가장 신경 써야 할 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C커머스에 밀려 쓰러지는 중소기업과 유통 업체다. 중국 직구에 대한 동등한 규제가 어렵다면 국내 기업들에 대한 과도한 규제라도 완화해달라는 게 이들의 간절한 바람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4시즌은 '박태하 매직', 단독 선두 질주하고 있는 포항 스틸러스[K리그 1] 개막 후 3승 1무 1패 기록, 우려 씻어낸 시즌 초반 질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린이날 선물 알리서 샀다간 애 잡겠네”…어린이 제품에 발암물질 범벅서울시, 테무·알리 상품 조사 11개서 최대 348배 기준 초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野가맹사업법이 걷어찬 사다리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급성장했다. 당시 종신고용제를 유지하던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실업자가 쏟아졌고 이들을 위한 일종의 컨설팅 사업으로서 프랜차이즈 산업이 태동했다. 당시 얼마나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는지는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실업률은 2%대에 머물면서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였지만 1998년엔 7.6..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與 싱크탱크의 날개없는 추락지난 총선 기간 여당 출입기자로서 가장 의문스러웠던 지점이 있었다. 국민의힘이 '이·조(이재명·조국 대표) 심판론'을 사실상 유일한 선거 전략으로 내세웠다는 점이다. 집권 여당으로서의 정책 비전과 '스윙보터' 층에 소구할 만한 전략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일부 지역을 돌며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등 공약을 띄우기는 했다. 하지만 공약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복 입고 관악산 오르던 중년男…희망의 끈 끊어버린 野가맹사업법 [기자24시]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급성장했다. 당시 종신고용제를 유지하던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실업자가 쏟아졌고 이들을 위한 일종의 컨설팅 사업으로서 프랜차이즈 산업이 태동했다. 당시 얼마나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는지는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실업률은 2%대에 머물면서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였지만 1998년엔 7.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발등에 불' 저축은행 부실PF 정리은행은 신용으로 장사를 한다. 신용을 받아(예·적금) 신용을 내주면서(대출) 영업한다. 소비자가 은행에 예·적금을 넣는 이유는 내가 맡긴 돈을 안정적으로 굴려 고시된 이자를 줄 것이란 믿음 때문이다. 당연히 소비자 입장에선 내 돈을 믿고 맡기려면 은행이 탈이 없이 건강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저축은행업권의 건전성 악화는 신용을 내준 금융소비자에게 간이 '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