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급성장했다. 당시 종신고용제를 유지하던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실업자가 쏟아졌고 이들을 위한 일종의 컨설팅 사업으로서 프랜차이즈 산업이 태동했다. 당시 얼마나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는지는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실업률은 2%대에 머물면서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였지만 1998년엔 7.0
당시 종신고용제를 유지하던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실업자가 쏟아졌고 이들을 위한 일종의 컨설팅 사업으로서 프랜차이즈 산업이 태동했다. 당시 얼마나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는지는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실업률은 2%대에 머물면서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였지만 1998년엔 7.0%까지 치솟았다.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2020년 실업률이 4.0%로 절반 수준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재앙이었다.한평생 회사에 ‘올인’하다 별도의 기술과 지식을 쌓지 못했던 그들은 본사의 노하우를 배워 작은 가게를 열었고, 그 덕에 현재 30·40대는 학업을 마치고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구멍가게일지 몰라도 가맹점 하나하나는 피와 땀으로 쓴 역사를 배태하고 있었고, 그만큼 생계와 직결되기 때문에 유례없는 규제도 낳게 됐다.
잊을 만하면 터져나오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질’ 뉴스에 국민들이 분노하는 이유 또한 결코 남 얘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야당이 최근 국회 본회의에 직회부한 가맹사업법 개정안은 이런 여론을 등에 업고 있어 그대로 공포될 가능성이 높다.업력이 오래된 프랜차이즈 본사는 그만큼 가맹점주와 네트워크를 끈끈히 구축하고 있어 무분별한 교섭 요구에 대응할 수 있지만 신규 브랜드는 자본과 노하우 측면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연간 100만명 가까이 태어난 50·60대가 은퇴하면서 창업 수요는 꾸준히 늘 텐데 신규 창업을 막아버리면 은퇴자는 더욱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어차피 60대 이상은 ‘2찍’이라는 마음으로 방관하겠다는 것인지 야당에 묻고 싶어진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밀레니얼 시각] 아이들을 환대하는 북토크를 열자아이는 시끄럽고 어수선해손쉽게 배제하는 문화 당연시관용과 이해가 희망의 출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금이 밸류업 전부는 아니다…주가 관심없는 이사회 바꿔야 [기자24시]총선이 끝나고 나서 증권 관련 텔레그램이나 기사 댓글에선 밸류업 프로그램의 실패가 확정된 것 같은 목소리가 넘쳐난다. 밸류업 프로그램이 기업 지배구조에 개입할까 우려하는 한국경제인협회의 좌담회 기사에도, 중견 상장사를 만나 ‘밸류업은 자율성에 기반한다’고 설명한 한국거래소 이사장의 기사에도 ‘총선 끝났다고 벌써 이러기냐’는 댓글이 달리고 있다. 모두 상속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中게임의 한국안방 파상공세최근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선 중국산 '마작' 게임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중국 캣푸드스튜디오와 요스타가 개발·서비스 중인 게임 '작혼'이다. 일본식 마작을 조작이 간편한 게임으로 만들고 '미소녀'와 같은 서브컬처 요소를 가미한 게 특징이다. 출시 후 단숨에 국내 매출 순위 10위권에 올랐고, MZ세대는 기꺼이 지갑을 열었다. '룰'도 생소한 마작 보드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40년후 우리는 어떻게 기억될까최근 넷플릭스 드라마로 각색돼 화제가 된 SF 소설 '삼체'는 400년 후 외계 문명의 지구 침공을 중심 소재로 다룬다. 소설상 현재 인류에게 외계의 침공은 삶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미래의 일이다. 그러나 인류는 미래 세대의 평화를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해 적의 위협에 대응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소설의 설정은 국민연금 개혁을 완수해야 하는 20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젠 AI가 24시간 법률상담, 그런데 또 멈춰설 위기…혁신 막는 ‘밥그릇 싸움’ [기자24시]법무법인 대륙아주가 국내 로펌 최초로 출시한 인공지능(AI) 법률 서비스 ‘AI대륙아주’가 20일 첫발을 내디뎠다. 검색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축적한 법률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답변을 찾아주는 서비스다. 누구나 24시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변호사 사무실을 찾아가야 했던 부담을 줄여주고 좀 더 편리한 ‘1차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대가 마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전공의 없는 병원' 안되나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빈자리를 남겨둔 채 출발했다. 탑승을 거부한 의사단체는 교수들의 사직 행렬로 더욱 강경해졌다. 최근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분을 각 대학에 자율적으로 맡기겠다며 한발 물러섰지만 의정 간극은 단 1㎝도 좁혀지지 않았다. 의료개혁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정부도 의료계도 이견이 없다. 정부는 의개특위를 구성한 목적 중 하나가 병의원(1차·경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