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산업연합포럼은 트럼프 2기 정부 무역 정책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맥카시는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임에도 철강ㆍ알루미늄에서 높은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며 '향후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를 통한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맥카시는 '미국은 자국 내 조선업 육성을 위해 1920년 제정된 존스법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고,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조선 산업 보호를 위해 추가 보조금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한국 조선사의 미국 시장 진입이 더욱 까다로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미국 워싱턴 정가에서 활동하는 통상 전문가, 저스틴 맥카시 DGA그룹 파트너의 진단이다. 19일 한국산업연합포럼은 트럼프 2기 정부 무역 정책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맥카시는 “한국은 자유무역협정 체결국임에도 철강ㆍ알루미늄에서 높은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며 “향후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를 통한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DGA그룹은 워싱턴 정계를 주무대로 활동하는 로비업체다. 주미 한국대사관이 트럼프 2기 정부 대응 차원에서 자문 계약을 맺은 곳이기도 하다. 맥카시는 조지 W 부시 전 미 대통령의 입법 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냈다.
지난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1기 때 한국이 맺었던 쿼터 협정을 무효화하는 조치다. 맥카시는 뒤이을 조치를 경고했다. 조선 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맥카시는 “미국은 자국 내 조선업 육성을 위해 1920년 제정된 존스법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고,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조선 산업 보호를 위해 추가 보조금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한국 조선사의 미국 시장 진입이 더욱 까다로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 조선업체는 액화천연가스 추진선, 수소 연료 전지 선박 등 차세대 기술력을 앞세운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 보조금은 이미 변화가 예고됐다. “IRA 개정안은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산 원료 의존도를 줄이고 북미산 핵심 광물 비중을 늘리는 쪽으로 조정될 것”이라며 “한국 배터리 기업은 미국 내 제조ㆍ원자재 공급망 확보를 위해 추가 투자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그는 설명했다.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일으킨 무역 전쟁은 이제 시작이다. 패트릭 케이시 DGA그룹 파트너는 이날 간담회에서 “최근 여론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50%를 넘고 있다. 1기 때보다 높은 인기”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화당은 2026년 중간 선거에서 의석을 추가로 확보해 다수당 지위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할 전망”이라며 트럼프 정부가 보호무역정책 강도를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철강 트럼프 행정부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정부 한국 조선업체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북정책 韓 패싱 우려 덜었지만 … 한미, 관세 논의는 못해트럼프 2기 첫 한미외교회담'北 완전한 비핵화' 공식선언한미일 안보공조 지속하기로조태열, 대미투자 성과 강조美, 조선·에너지 협력 러브콜관세협상에 긍정적 역할 주목전문가 '동맹목표 재확인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측 면담 성사되나...최태원 SK 회장, 트럼프 2기에 워싱턴DC 처음 뜬다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 워싱턴DC 출장길에 오른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국내 4대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테크 규제 용납 불가' 美무역수장 발언…韓 경쟁정책 영향은(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수장 후보가 취임하기도 전에 한국 등의 빅테크 규제 정책을 향해 '용납할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식의 이코노믹스] 트럼프 2기 환율 대응은 한계, 조선·철강 협력으로 ‘윈윈’을우리 정책 당국은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수출 감소보다는 군수산업이나 에너지 수입을 늘리는 전략으로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필요가 있다. 수출 경쟁국인 중국의 위안화 가치 변동에 따라 한국의 수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당국은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중국의 환율 정책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정책 당국이 반도체와 배터리, 바이오, 인공지능(AI), 군수산업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청사진을 만들어 한국 경제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면 기업 투자가 늘며 트럼프의 관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한국 수출 큰 피해 우려미국이 중국에 대하여 10% 추가 관세 부과… 중국도 맞불 방어조치,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중 무역 전쟁 서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비관세 장벽 포함 OTT 플랫폼 규제, 망 사용료 등 가능성 거론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며 한국에 대한 비관세 장벽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다. 미국 측은 한국 정부의 OTT 플랫폼 규제, 망 사용료 관련 정책 등을 부당한 무역 관행으로 지적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으로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이지만,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상으로 비관세 장벽이 포함될 경우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