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7400km 가량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이 한반도 지반뿐만 아니라 지하수 수위에까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수위변화로 지하 오염물에도 영향 가능성”
“수위변화로 지하 오염물에도 영향 가능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환경연구센터 연구자들이 지진-지하수 연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반도에서 7400km 가량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이 한반도 지반뿐만 아니라 지하수 수위에까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지진-지하수 연계 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는 국내 지하수 관측정 11곳 중 두 곳에서 지난 6일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과 여진의 영향으로 지하수 수위가 변화한 것을 감지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경북 문경의 관측정에서 튀르키예 본진 뒤 지하수 수위가 7cm 상승하고, 여진 뒤 수위가 3cm 하강하는 등 지진에 따른 뚜렷한 수위 변화를 탐지했다. 또 강원도 강릉의 관측정에서도 본진 이후 3cm의 수위 상승을 탐지했다.
대수층은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으로 주로 모래, 자갈, 실트, 점토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강력한 지진은 지하수가 풍부한 대수층은 물론 방사성폐기물 부지와 오염 지역 등의 지중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지진과 지하수의 연계에 대한 점검과 연구를 지속해왔다. 이에 따라 앞서 인도네시아 강진, 동일본 대지진, 네팔 강진, 뉴질랜드 강진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연구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모 7.5 이상의 지진이 7000km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수형 박사는 “지진의 충격파가 계속 전달되면 지하수의 유입·유출에 변화를 줄 수 있고, 만약 이 지하수가 오염 부지에 있으면 오염물의 거동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측과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미터 간격 흙더미 앞엔 나무 묘비가…“5천명 넘게 묻혔다”[아침을 여는 한겨레] 2023년 2월 13일 월요일 흙더미 앞 줄지은 숫자 나무판 👉 읽기: ‘곽상도 50억 무죄’ 공분에 정치권 ‘대장동 특검’ 탄력 👉 읽기: 치료 골든타임 지나가는데…주변선 “빅5 가라” 👉 읽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법도 규칙도 무너졌지만…“나쁜 얘긴 안 해, 아이들 있으니까”일하고 차 마시던 평범한 삶은 끊겼습니다. 하지만 텐트촌의 일상 역시 단조롭기는 마찬가지입니다. 해가 뜨면 이재민들은 ‘스스로를 돕는’ 자원봉사자가 됩니다.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현장을 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구호물품, 시내로 몰려” 분노로 바뀐 생존자들의 슬픔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 일부 지역에선 정부의 구호물품 트럭을 볼 수 없다는 성토가 쏟아지며 무능한 정부와 이방인들을 향한 ‘분노’로 모습을 바꿔가고 있습니다. 🔽 대지진 현장 르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샤워라뇨? 변기도 사치인데' 75만명이 흙먼지 속에서 먹고 잔다화장실을 찾는 기자에게 자원봉사자가 가리킨 곳엔 세면대는커녕 변기조차 없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현장을 가다] 실낱 ‘숨소리’ 찾아…모두가 ‘숨’ 멈춘다11일 오전(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 안타키아의 한 건물 폐허에서 구조작업 중이던 한국 해외긴급구조대(KDRT) 대원들이 손바닥을 편 손을 머리 위로 줄줄이 들어올렸다. 검지를 입에 대며 조용히 해달라는 신호를 보내는 남성도 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