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수위를 향해 치닫는 미·중 경쟁지구촌은 극한 기후로 큰 고통 겪어‘실존적 위협’에 맞설 중지 모아야
‘실존적 위협’에 맞설 중지 모아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미국 대통령 별장인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회의를 마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조 바이든 미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캠프 데이비드/연합뉴스 미국의 숙원이었던 한미일 삼각동맹이 눈앞에 다가왔다고 믿었기 때문이었을까? 8월 18일 미국 대통령의 휴양지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 주최자인 조 바이든 대통령의 얼굴에는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그 이후 바이든은 세계인의 휴양지인 하와이로 향했다. 그를 기다린 것은 분노한 하와이 일부 주민들의 가운뎃손가락이었다. 최악의 산불로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최악의 피해가 발생했는데, 13일 만에 나타난 바이든을 향해 ‘뭣이 중한가’를 묻고 있는 듯했다.
그런데 넘버원을 넘보는 중국과 넘버원을 지키려는 미국 사이의 경쟁은 허망하고도 근시안적이다. 세계 양대 탄소배출국이자 경제대국이며 군비지출국가인 이들 나라의 배타적인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지구는 더더욱 뜨거워질 수밖에 없다. 이는 미국이 앞으로도 세계 1위 자리를 지키더라도, 혹은 중국이 세계 1위로 올라서더라도, 정작 그 세계는 거주 불능의 땅이 크게 넓어진 곳이 될 것임을 말해준다. 앞서 언급한 하와이 대참사나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극한 기후는 이에 대한 예고편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묻게 된다. 오아시스를 꿈꾸며 타자와의 동행을 거부하면서 온힘을 쏟아 부어 도달한 땅이 황무지라는 것을 알게 되면 얼마나 허망할까? 바이든은 하와이 주민이 내민 가운뎃손가락에 담긴 의미를 잘 새겨들어야 한다. 하와이 산불은 폭염·건조·강한 바람이 만들어낸 참사이고, 이는 기후변화가 초래한 측면이 강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법무부 장관이 법률 취지 이해 못했거나 호도하는 것”···각양각색 커플들이 말하는 생활동반자법지난 15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법무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생활동반자법의 실질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잿더미 된 하와이에 또 화재 대피령 내려졌다가 해제사상 최악의 산불 피해를 겪은 하와이 마우이섬 서부에 또 화재가 발생해 한때 대피령이 내려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와이 마우이섬 서부서 산불로 또 대피령사상 최악의 산불 피해를 겪은 하와이 마우이섬 서부에 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잿더미' 하와이 또 산불…'지체 말고 피신을' 한때 대피령최악의 산불 피해가 발생한 하와이 마우이섬에 또 다시 불이 나 당국이 한때 대피령을 내렸습니다. 이번에는 비교적 일찍 진화 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