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이 접수되면 검찰은 직접 수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검찰 수사권 분리’ 법안이 시행되기 전 검찰이 직접 수사할 수 있는 6대 범죄 가운데 하나인 공직자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명시적 ‘월북 지침’ 없을 경우 논란 지속할 듯” 2020년 9월 북한군이 피살한 해수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원 이대준 씨의 배우자가 17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변호사회 변호사회관에서 이씨의 아들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쓴 편지를 대독하던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왼쪽은 이대준씨의 형 이래진 씨. 연합뉴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으로 숨진 이대진씨의 유족이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과 김종호 전 청와대 민정수석, 이광철 전 민정비서관을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사건을 둘러싸고 정치권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검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씨 유족 쪽은 20일 에 “서 전 실장과 김 전 수석, 이 전 비서관을 오는 22일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와 해경은 지난 16일 “이씨의 월북 의도를 인정할 만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2020년 당시 수사 결과를 뒤집고 사과했다.
다만, 대통령기록물에 ‘월북 지침’ 관련 청와대의 명시적인 지시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검찰이 확보한 기록물에 간접적인 언급이 담겨있을 경우, 검찰은 당시 해수부 공무원과 해경 등을 상대로 윗선 지시 등을 확인하는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결국 기록물과 당시 상황을 둘러싼 정치적 해석과 논란이 계속 이어질 공산이 큰 셈이다. 검사장 출신 한 변호사는 “설령 ‘월북 지침’이 있었더라도, 대통령기록물에 명시적인 지시 내용이 남아있을 가능성은 낮다. 검찰 수사를 향한 정치권 공방과 소모적인 논쟁은 수사 시작부터 재판이 끝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실제 ‘2007년 정상회담 회의록 초본 삭제’ 사건도 9년간 법정 공방이 이어진 바 있다. 검찰은 2013년 회의록에 노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이 없다고 결론 내리면서도, 백종천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과 조명균 전 통일외교안보정책비서관을 ‘대화록 삭제’ 혐의로 기소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검찰, '산업부 블랙리스트' 전 靑 행정관 소환...윗선 수사 본격화이른바 '산업부 블랙리스트'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문재인 정부 초기 청와대로 파견됐던 산업부 관계자를 소환했습니다.서울동부지방검찰청은 오늘(20일) 오전 10시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혁신과 A 과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산업부에서 근무하던 A 과장은 산하기관장들이 사퇴를 종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수사’ 깨작, 문정권 수사는 속도…다르게 가는 검찰 시계지난달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임명한 서울중앙지검 송경호 지검장-박기동 3차장검사 등 지휘부 판단 아래 전 정권 관련 수사에 속도전을 벌이는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캠핑 성지' 갯벌 잇단 사고…직접 현장에 가봤습니다지난 15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과 글입니다. 갯벌 한가운데 SUV 차량이 빠져 구조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달 초에도 전기차 1대가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찰, ‘환경부 판결문’ 보며 산업부 블랙리스트 수사한다검찰은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이 13명에게 사표 제출을 요구한 게 직권남용이라며 기소했는데, 법원은 두 가지 기준에 따라 4명만 혐의를 인정했다. 법원은 사표 요구 전부터 사직 의사가 있었던 임원들과 남은 임기가 없는 임원들에게 사표를 받은 것은 무죄로 판단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식 ‘법치국가’란 검찰 공화국인가이른바 ‘검수완박’ 입법 과정의 관전 포인트는 윤석열 대통령의 반응이었다. 검사 시절 “(검찰 조직을) 대단히 사랑한다(2013년 10월 법사위 국정감사)”라고 밝힌 그였다. 검찰총장 시절엔 ‘검수완박’에 대해 “부패완판(부패가 완전히 판친다, 2021년 3월)”이라며 맹비난했다. ‘검수완박’ 논란을 둘러싼 정쟁이 깊어지고 검찰의 반발이 거세질수록, 검찰총장직에서 대통령 자리로 직행한 그의 입에 시선이 모였다.윤 대통령은 ‘검수완박’ 논란과 거리를 두었다.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말을 아꼈다. 박병석 당시 국회의장이 제안하고 여야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무장관과 소통령 사이…‘1년 같은 한 달’ 한동훈의 ‘계륵’ 검찰취임 ‘한 달’을 갓 넘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지난 한 달은 1년과 같이 길었다. 장관 후보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