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마다 유해 남조류 급증겨울철도 이례적 ‘관심’ 단계국가명승 화룡포의 절경 실종멸종위기 ...
겨울철도 이례적 ‘관심’ 단계‘마지막 모래강’으로 불리며 맑은 물을 자랑했던 낙동강 지류 내성천이 영주댐 담수 이후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은주 의원이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출받은 내성천 수질 자료를 보면 경북 영주 평은면에 있는 영주댐이 본격적으로 담수를 시작한 2019년부터 올해까지 내성천에서는 극심한 녹조와 유해 남조류 창궐 현상이 여름철마다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조류경보는 3단계로 발령된다. 유해 남조류 개체 수가 2회 연속 ㎖당 1000개를 넘어서면 ‘관심’, 1만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개를 초과하면 ‘대발생’이다. 영주댐 인근 지점의 남조류 개체 수를 보면 영주댐 유사조절지에서는 2019년 7월8일 18만개, 같은 달 15일 25만개까지 치솟았고, 같은 해 영주댐 앞 지점은 8월5일 16만개까지 증가했다. 2020~2022년 여름에도 남조류 개체 수는 최대 21만개까지 늘었다. 남조류 개체 수가 수십만개에 달하고, 겨울철까지도 조류경보 관심 기준을 넘어서는 것은 ‘녹조라테’로 유명한 낙동강에서도 흔한 일이 아니다. 1조원 이상을 들여 건설한 영주댐이 낙동강 수질 개선은커녕 내성천 수질까지 악화시켰음이 드러난 셈이다.환경부는 지난달 22일 영주댐 준공 승인을 내줬다. 문화재 복원, 녹조 문제, 예산 낭비 등 논란에도 준공 승인이 나자 환경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현재 내성천은 흙탕물이 방류되고 난 뒤 상류의 녹조가 하류까지 점령했다. 모래강의 원형을 간직한 마지막 하천, 국가명승 회룡포를 품은 맑은 강은 지금 찾아볼 수 없다. 내성천 백사장은 멸종위기 어류 흰수마자, 먹황새 등이 찾아오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이들을 보기 어렵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영주댐 담수 후 녹조범벅 된 내성천, 마지막 살릴 기회 놓치나‘마지막 모래강’으로 불리며 맑은 물을 자랑했던 낙동강 지류 내성천이 영주댐 담류 이후 심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지옥, 中정부 거짓말 탓”…극좌파 욕받이 된 ‘중국의 양심’ [나쁜 책][금서기행, 나쁜 책-11] 팡팡 ‘우한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한동훈 장관도 '특별채용' 됐다조희연 교육감의 특별채용이 형사처벌 대상이라면 특채된 대통령과 장관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괴로워서 곁에 두고 싶지 않은' 그림, 결국 이렇게 됐다조지아 오키프를 예술가로 데뷔 시킨 친구 애니타 폴리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야 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고대 가야의 유적 7개 고분군으로 구성된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