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호의 추억 [편집국장의 편지]

대한민국 뉴스 뉴스

800호의 추억 [편집국장의 편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isain_editor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창간 때나 지금이나 독립언론은 매일매일이 도전의 길이다. 인쇄매체가 쇠퇴기임을 매주 수치로 느낀다. 나는, 내 결정이 이 매체의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한다. 📝 차형석 편집국장

린 채 인쇄되었다. 창간호의 특종, 창간호의 실수. 나중에 문정우 초대 편집국장에게 들었다. 그날 밤, 일을 다 마치고 집에 가 샤워기를 틀어놓은 채 울었다고. 그 이야기를 낄낄대며 들었는데, 뭔가 뭉클했다. 이번 호가 제800호다. 언젠가 여기에 쓴 것처럼, 주간지는 1년에 두 번 합병호를 낸다. 배송 때문이다. 800호이지만 769번째 마감이다. 지난 호 마감은 새벽 3시30분에 끝났다. 이 일을 769번 했다니. 769번의 마감, 뭔가 마음이 꿈틀거린다. 그래서 제800호에 실릴 편집국장의 편지를 좀 멋있게 써보려고 다른 날보다 일찍 출근했다. 그런데 아뿔싸, 여태 아무 문제 없던 컴퓨터가 부팅이 안 되는 거다. 이른 아침부터 두 시간 날려먹었다. 임시로 다른 컴퓨터로 일했다. 멋있게 글 쓸 타이밍을 놓쳤다. 800호 마감 직전, 제작팀 중 한 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되었다.

마감 당일, 오후에 다른 제작팀원이 감기 증세로 병원에 갔는데, 그 또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편집국 말로 ‘필수요원’인데, 그 시간에 대체인력을 구하기도 어려웠다. 그는 컴퓨터를 싸 들고 집으로 가 ‘재택근무’를 하게 되었다. 어쩔 수 없었지만, 미안했다. 얼마 전 다쳐 집에서 일을 하던 다른 ‘제작팀 요원’이 컴퓨터를 싣고, 목발을 짚고 회사로 왔다. 취재차를 운전하는 이효진 과장이 회사와 그의 집을 왔다 갔다 했다. 800호의 마감, ‘버라이어티’했다. 창간 때나 지금이나 독립언론은 매일매일이 도전의 길이다. 인쇄매체가 쇠퇴기임을 매주 수치로 느낀다. 이때 편집 책임자를 맡은 나는, 내 결정이 이 매체의 지속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한다. 800호를 내는 지금, 2000호를 낼 때쯤 ‘예전에 800호 만들 때, 이런 일이 있었지’ 하며 〈시사IN〉 사람들이 낄낄대며 웃고 있기를 바란다. 그때까지 독자 여러분께서 곁에 함께해주시기를 바란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isain_editor /  🏆 13.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반갑다 산천어' 3년 만에 귀환, 화천 산천어축제'반갑다 산천어' 3년 만에 귀환, 화천 산천어축제주민들이 축제 성공을 위해 직접 제작한 2만 5천 개 산천어등이 불을 밝힌 거리가 화천읍 중심거리를 환하게 수놓고 있다. 화천산천어축제 화천여행 겨울축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개월 시한부 말기암 해외동포의 마지막 버킷리스트6개월 시한부 말기암 해외동포의 마지막 버킷리스트6개월 시한부 말기암 해외동포의 마지막 버킷리스트 캐나다 박옥규 기부 버킷리스트 박영자 조욱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인2세, 성소수자, 비주류... 악조건 속에도 그가 빛나는 이유한인2세, 성소수자, 비주류... 악조건 속에도 그가 빛나는 이유한인2세, 성소수자, 비주류... 악조건 속에도 그가 빛나는 이유 김영우 전후석 CHOSEN 데이빗김 초선 클레어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전사회’를 바라며 [편집국장의 편지]‘안전사회’를 바라며 [편집국장의 편지]지난주, 2022 송년호에 실을 ‘올해의 사진’ 때문에 〈시사IN〉 사진팀이 한 해 동안 찍은 사진들을 살펴보았다. 그 어느 해보다 재해·사고 관련한 사진이 많았다. 평택 냉동창고 공사장 화재(1월)부터 광주 신축 아파트 붕괴(1월), 울진 산불(3월), 수도권 집중호우 피해(8월) 그리고 10·29 이태원 참사까지. 어쩔 수 없는 자연재해인가 싶다가도, 조금만 다가가 살펴보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인재였음이 드러났다. 집중호우를 막을 순 없지만, 반지하 방에서 사람이 죽는 것은 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 대형 사고를 접할 때마다 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19: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