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 소녀 조의 7만원 짜리 '명품 가방'을 보는 엇갈린 시선은 아시아의 부국이라는 화려한 겉모습에 가린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 사는 소녀 조 가브리엘이 이달 사회관계망서비스 틱톡에 올린 영상. 아버지가 사준 가방을 '명품'이라 표현했다가 조롱을 받았다. 틱톡 캡처발단은 싱가포르에서 학교를 다니는 17세의 조 가브리엘이 이달 초 틱톡에 올린 영상이었다. 그는 영상에서 잡화 제조·유통 일괄형 브랜드인 '찰스앤키스'의 가방을 구입하면서"내 첫 번째 명품 가방"이라는 문구를 썼다. 아버지에게 고맙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 영상이 공개되자 "명품의 뜻조차 모른다""패스트푸드점을 고급 식당이라 부르는 격"이라는 조롱이 쏟아졌다. 중가 브랜드인 찰스앤키스 가방은 대부분 10만 원을 넘지 않는다.
조는 재차 영상을 올렸다. 2010년 필리핀에서 이주한 그의 가족은 빵조차 마음껏 살 수 없는 처지였다며"내게 이 가방은 명품이 맞다"라고 고백했다. 이번엔 '누구나 비슷한 환경'에 살고 있다고 착각하는 특권층의 무지에 대한 지적이 터져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를"가격표에 대한 싱가포르의 집착"이라고 꼬집었다. 조의 '명품 가방'을 둘러싼 싱가포르의 엇갈린 시선은 아시아의 부국이라는 화려한 겉모습에 가린 빈부격차를 보여준다. 싱가포르는 1인당 국내총생산 세계 11위로 아시아 명품 사업의 중심지다. 동시에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 역시 선진국 중 상위권이다. 한국보다도 높을뿐더러 한때는 '양극화의 나라' 미국마저 제치는 수준이었다.
싱가포르 변호사 에이드리언 탄은 영국 BBC방송에서"싱가포르에는 어마어마한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이 함께 존재하지만, 국민은 대부분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여긴다"라고 전했다. 소득 하위계층은 조의 가족과 같은 이주 노동자가 다수라 보이지 않는 계층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조 역시"사람들은 그 가방이 왜 내게 소중한지를 이해하지 못했다"라고 전했다. 여파는 정치권에도 미쳤다. 로렌스 웡 싱가포르 부총리는 16일 연설에서 조의 사례를 들어 싱가포르 사회가 '건강하지 않은 비교'에 빠졌다고 꼬집었다. 웡 부총리는"브랜드에 대한 선망이 가방 아닌 영역으로도 번졌다"라며 물건뿐 아니라 학교, 직업 등에서도 그럴듯한 것만 선호하는 세태를 꼬집었다. 그러면서"서로를 인정하고 타인의 일을 존중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전혼잎 기자 [email protected] 0 0 공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박희영 용산구청장, 참사 당일 “대통령 비판 전단지 수거하라” 지시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일 삼각지역 근처에 붙은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의 전단을 수거하라고 용산구청 직원들에게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싱가포르 사회 불평등: 토트백이 촉발한 계층 논쟁 - BBC News 코리아싱가포르 사회 불평등: 토트백이 촉발한 계층 논쟁 싱가포르의 17세 소녀가 올린 가방 게시물이 싱가포르 사회 내 불평등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최측근’ 정진상, 첫 재판 하루 전 보석청구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측근인 정진상 전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첫 재판을 하루 앞두고 불구속 재판을 받게 해달라며 법원에 보석을 청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길 뚫고 '냉장고 속 돈다발' 할머니에게 찾아준 소방관당시 이웃 점포에서 옮겨 붙은 불길이 할머니의 점포에도 치솟으면서 선뜻 안으로 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팀 내 연봉 인상률 1위' 황성빈, 롯데 외야 중심으로'팀 내 연봉 인상률 1위' 황성빈, 롯데 외야 중심으로 프로야구 황성빈 프로야구 KBO리그 롯데자이언츠 유준상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