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호우로 치솟은 농산물값 … 주춤했던 물가에 기름 부었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폭염·호우로 치솟은 농산물값 … 주춤했던 물가에 기름 부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4%

하반기 들어서도 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마저 다시 상승하고 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는데 물가마저 가파르게 오르면 가계 운영에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는 최근 물가 오름세가 여름철 폭염 때문이라며 10월 이후에는 안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5.4% 올랐다. 이는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성수품인 과일 가격이 1년 사이 13.1% 급등했다. 사과, 복숭아, 수박 등에서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사과 가격은 전달과 비교해도 12.1%나 올랐다. 채소류 가격도 요동쳤다. 채소류 물가는 1년 전보다는 1.1% 하락했지만 전월과 비교하면 16.5% 상승했다. 전월 대비 가격 상승률은 시금치는 59.3%에 달했고, 배추와 무 등도 높았다. 고구마, 고춧가루, 쌀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다. 과일과 채소, 해산물 등의 물가를 나타내는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7월에는 1.3%였지만 지난달에는 5.6%를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도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린 배경이 됐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11% 내렸지만 지난 6월, 7월과 비교하면 하락폭이 급격히 줄었다. 여기에는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탔다는 점, 지난해 8월 석유류 물가 상승폭이 둔화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물가 상승폭이 2.3%에서 3.4%가 되는 데 석유류가 80%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상반기 국제유가가 고공 행진하다가 지난해 8월에는 급격히 떨어졌는데, 이 부분이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뛰는 데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과일 등 추석 성수품 물가 잡기에 나섰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7월 중순부터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되고 있다"며"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물가가 안정되도록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8월 물가 3.4% 상승, 석달 만에 다시 3%대 올라서8월 물가 3.4% 상승, 석달 만에 다시 3%대 올라서석유류 하락 폭 축소...폭염·폭우 영향으로 과일값 크게 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폐지 줍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폐지 줍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폭염 속 일해도 하루 1600원... 노인 빈곤 풀기 위한 세심한 정책 절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고] 기후위기로부터 농업과 농촌을 지키는 길[기고] 기후위기로부터 농업과 농촌을 지키는 길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가뭄과 폭우, 폭염 등 극한 기상을 겪고 있다. 특히 올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폭염·가뭄 뒤 집중호우' 스페인 40여 년만의 큰 비로 최소 4명 사망'폭염·가뭄 뒤 집중호우' 스페인 40여 년만의 큰 비로 최소 4명 사망[앵커]지난달까지 극심한 더위와 가뭄이 이어지던 스페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8월 소비자물가 3.4% 상승…4개월 만에 최대폭[속보] 8월 소비자물가 3.4% 상승…4개월 만에 최대폭8월 소비자물가가 폭염·폭우 등 영향으로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2월부터 둔화하다가 7월에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상승률 3개월 만에 다시 3%대…국제 유가 상승에물가상승률 3개월 만에 다시 3%대…국제 유가 상승에8월 소비자물가 3.4% 상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01: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