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창사 13년만에 첫 흑자를 기록한 쿠팡은 2년 연속 6000억원대 영업이익도 거뒀다. 이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김범석 쿠팡Inc 이사회 의장은 '혁신의 문화가 수익 개선의 원동력'이라며 '다음 혁신의 물결인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성장과 수익을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쿠팡 지주사인 쿠팡Inc가 2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41조2901억원(302억6800만달러)으로 전년보다 29% 증가했다.
지난해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절벽에도 쿠팡이 국내 유통기업 중 처음으로 연 매출 40조원을 돌파했다. 롯데쇼핑뿐 아니라 이마트·신세계백화점을 거느린 신세계그룹 등 전통의 유통 대기업을 뛰어넘은 실적이다. 지난 2023년 창사 13년만에 첫 흑자를 기록한 쿠팡은 2년 연속 6000억원대 영업이익도 거뒀다.
지난해 실적에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과 통상임금 추정 부담금이 반영된 것을 감안하면 영업이익도 선방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말 대법원이 통상임금 산정 범위에 명절 등 정기 상여금이 포함된다고 판결함에 따라, 관련 비용 증가분을 추정 반영했다. 덕평 물류센터 화재 보험금 수령분도 4분기 이익에 반영됐다.매출 40조 고지를 밟은 데 1등 공신은 해외 사업, 파페치, 쿠팡이츠 등을 아우르는 신성장 사업들이다. 쿠팡 내부에서 ‘성장 사업’으로 분류하는 해당 사업 매출은 4조8808억원로 전년 대비 4배 이상 뛰었다. 지난해 초 인수한 명품 이커머스 플랫폼 ‘파페치’가 흑자 전환했고, 2022년 대만에서 시작한 로켓배송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며 실적을 견인했다.
핵심·성장 사업 모두 ‘맑음’ 김 의장은 “쿠팡은 파페치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 경험에 집중하는 등 전략적인 결정을 내렸다”며 “현재 파페치는 전 세계 190여 개국에서 월 4900만 명의 방문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명품 커머스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사업이 효자네”…쿠팡Inc 연매출 40조 돌파, 2년 연속 흑자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Inc가 지난해 4분기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처음으로 연 매출 40조원을 돌파했다. 파페치, 대만 로켓배송 사업 등 글로벌 신사업이 포함된 성장 부문 매출이 4배 이상 오르면서 한해 매출 성장을 이끈 것이다. 다만, 2년 연속 영업흑자 기조를 이어갔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쿠팡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쿠팡, 국내 유통기업 중 최초로 매출 40조 돌파쿠팡의 지난해 매출이 40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유통기업 매출이 4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아이엔씨(Inc)가 2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4분기 연결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41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커머스·내수 부진’ 뚫은 로켓배송…쿠팡 매출 40조 돌파쿠팡이 국내 유통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지난해 매출 40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로켓배송과 대만·파페치 등 글로벌 사업이 동시에 준수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유통업계의 ‘쿠팡 독주체제’가 굳어지는 모양새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은 지난해 매출이 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라다이스, 창립 이래 최초로 매출 1조 돌파파라다이스는 일본·중국 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2024년 잠정 영업실적에서 연결 기준 매출액이 1조721억 원을 기록하며 창립 이래 최초로 매출 1조 원 돌파를 이루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러시아에선 초코파이가 필수 간식”…해외 곳곳에 공장 늘린다는 이 회사오리온 ‘매출 3조 클럽’ 확정 매출 60% 이상 해외서 올려 초코파이 등 메가브랜드 9개 진천 생산· 물류 센터 곧 착공 中선 감자칩 생산라인 증설 베트남· 러시아 공장도 확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부외교로는 모자랐나...‘고물가’에 발목잡힌 日이시바 지지율2월 닛케이 조사 40% 출범후 최저 美日 정상회담 반응도 시원치 않아 쌀 등 식품·에너지 물가 크게 올라 지난해 실질임금도 3년 연속 후퇴 ‘물가 대책’ 촉구 여론 44% 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