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정부가 2031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량을 아예 설정하지 않은 것은 국민의 기본권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해 헌법에...
한종찬 기자=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헌법재판관들이 29일 오후 헌법소원·위헌법률 심판이 열린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심판정에 입장해 착석하고 있다. 2024.8.29 saba@yna.co.kr정부의 기후 위기 대응이 부족하면 환경권 등 국민의 기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인정한 것으로, 아시아에서 최초로 나온 결정이다.심판대에 오른 것은 한국 정부가 탄소중립 기본법과 시행령, 국가 기본계획 등에서 정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가 적정한지다.헌재는"탄소중립법 8조 1항은 2031년부터 2049년까지의 감축목표에 관해 그 정량적 수준을 어떤 형태로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과소보호금지원칙 및 법률유보원칙에 반해 기본권 보호 의무를 위반했으므로 청구인들의 환경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이에"2050년 탄소중립의 목표 시점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감축을 실효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장치가 없으므로 이는 미래에 과중한 부담을 이전하는 방식"이라며"기후 위기라는 위험 상황에 상응하는 보호조치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성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헌재는 또"위험 상황으로서 기후위기의 성격상 미래의 부담을 가중하지 않기 위해서는 가장 의욕적으로 감축목표를 정하고 계속 진전시켜야 한다"며"2031년 이후의 기간에 대해서도 대강의 내용은 법률에 직접 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속보] 헌재 “2031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세워라”국가가 2031년부터 2049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워두지 않은 현행법(탄소중립기본법)이 헌법에 불합치한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다. 이 결정에 따라 정부는 2031~2049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2030년까지만 목표를 세워 만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낙태죄폐지, 다음을 상상하다] 우리에겐 ‘새로운 상상력’ 사실은 ‘국제 표준’2019년 헌재의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낙태죄’는 폐지됐지만 4년이 넘도록 정부와 국회는 임신중지 시스템을 어떻게 보건의료 시스템으로 들여놓을지 논의하지 않고 있다. 지난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늘구멍 두 번 통과’ 임시현 “두발 뻗고 잘 수 있을 것 같아요”파리올림픽 여자 양궁 개인전 금 작년 AG 이어 종합 대회 연속 3관왕 시상대에서 ‘바늘구멍’ 세리머니도 “속 후련해, 다음 목표는 4년 뒤 LA”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수정예 특공대 맹활약, 제 말대로 됐네요'장재근 진천 선수촌장 인터뷰144명 선수로 종합 8위 성과선수간 인사 등 단합 이끈 결과펜싱 오상욱 金 가장 기억 남아엘리트 체육 기사회생했지만지속성 중요, 4년 후 준비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화 꺼진 '100년 만의 파리 올림픽'…2028년 LA서 다시 만나요!(종합)(생드니[프랑스]=연합뉴스) 이대호 기자=1924년 이후 100년 만에 다시 문화와 예술의 도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하계올림픽이 4년 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유빈 20년 만의 탁구 단식 4강…임애지 12년 만의 복싱 메달(종합)(파리=연합뉴스) 장현구 기자=여자 탁구의 에이스 신유빈(대한항공)이 한국 선수로는 올림픽에서 20년 만에 단식 4강 진출 쾌거를 달성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