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격형 패러다임 탈피, 한국의 코리아 피크를 막을 5가지 전략

경제 뉴스

추격형 패러다임 탈피, 한국의 코리아 피크를 막을 5가지 전략
한국 발전추격형 패러다임개념설계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9%
  • Publisher: 53%

이정동 서울대 공대 교수는 한국의 발전 경험을 통해 추격형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중국의 등장과 잠재성장률의 저하로 한국의 추격형 패러다임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으며, 독창적인 개념설계를 제시하는 단계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초의 질문'을 제시하고 '스케일업의 축적'을 통해 고유한 개념설계를 개발해야 합니다.

이정동 서울대 공대 교수 한국의 발전 경험에 관심이 많은 개발도상국 정책 결정자들과 이야기할 때 먼저 한국의 주력 수출상품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보여주면 다들 깊은 인상을 받는다. 1961년 한국의 10대 주력 수출품목은 대부분 무연탄·중석·흑연처럼 천연자원이거나 오징어나 쌀과 같은 농수산물이었다. 놀랍게도 10위에는 돼지털이 있었다. 옷솔이나 구둣솔의 재료로 수출한 것이다. 그러나 불과 20년 후 1980년이 되면, 10위에 반도체가 등장하고, 다시 20년이 지난 2000년에는 반도체가 1위에 오르게 된다. 40년, 즉 대략 한 세대 만에 ‘돼지털’에서 ‘디지털’로 주력산업의 구성을 완전히 탈바꿈한 나라는 지난 100년 동안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산업 현장의 기업가와 엔지니어들, 그리고 묵묵히 실험실을 지켜낸 과학기술자들의 땀과 눈물로 이루어낸 자랑스러운 성과다.

성장의 엔진 멈추고 있는 한국 추격형 패러다임 못 벗어난 탓 설상가상 계엄으로 국가 혼돈 패러다임 전면 전환 절실한 때 지금까지 한국을 성장시킨 추격형 패러다임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중국의 등장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난 2000년 이후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5년에 1%포인트씩 추세적으로 떨어져, 지금은 거의 1% 안팎 수준에 이르렀다. 놀랍도록 활기차게 돌아가던 성장의 엔진이 서서히 멈추고 있다.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은 깊은 원인, 즉 우리 산업이 추격형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다. ‘최초의 질문’과 ‘스케일업의 축적’ 한국의 산업과 기술은 70년대 본격적인 발전을 시작한 이래 도입기술·개량기술, 그리고 자체기술의 단계를 밟아가며 집요하게 선진국을 추격해 왔다. 2000년대 이후 한국 산업은 자동차에서부터 반도체·휴대폰·첨단 해양플랜트를 넘어 우주발사체를 쏘고, 첨단전투기를 만들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쉽게 말하면, 선진국 산업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상품을 그들과 같은 수준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지에 올랐다. 그러나 여기에 만족하기에는 일러도 너무 이르다. 무엇보다 선진국의 개념설계를 도입하여 그들과 같은 수준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실행의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행의 힘, 즉 추격형 패러다임으로 갈 수 있는 최대한의 수준에 이른 것이다. 그것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다. 이제는 이 실행역량만으로는 더 이상 버틸 수 없게 되었다. 우리의 강점이었던 바로 그 탁월한 실행이란 것을 중국이 모든 산업에서 더 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제시된 개념설계를 벤치마크 삼아 충실히 실행하는 단계를 넘어선다는 것은 우리 스스로 벤치마크를 제시하는 단계, 즉 우리만의 고유한 개념설계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고유한 개념설계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익숙했던 실행에 기반한 추격전략과는 완전히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남들이 감히 던지지 못한 도전적인 목표, 즉, 최초의 질문을 내걸고, 시행착오를 축적하면서 조금씩 해답을 만들어나가는 스케일업을 버텨내야 하는 것이다. ‘최초의 질문’과 ‘스케일업의 축적’, 이 두 가지 전략이 고유한 개념설계의 탄생 비밀인데, 하얀 눈밭에 처음 발자국을 딛는 것처럼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길이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의 고소득 국가가 되기까지 열심히 실행하는 추격의 관행으로 달려왔지만, 독창적 개념설계를 제시하는 단계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이제부터는 내려가는 길밖에 없다. 선진국의 문턱에 도달했던 많은 국가들이 이 전환의 고개를 넘지 못하고, 영원한 중진국으로 주저앉은 사례가 수두룩하다. 한국도 과학기술계와 산업계, 나아가 사회 전체가 실행에서 개념설계로 패러다임 전환을 하지 않으면, 지금 누리고 있는 국민소득 3만 달러가 앞으로 다시 없을 피크가 되는 일, 즉 코리아 피크가 현실화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한국 발전 추격형 패러다임 개념설계 코리아 피크 성장 동력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60대40 포트폴리오와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에 대한 설명60대40 포트폴리오와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에 대한 설명최정혁 교수는 투자자의 다음 해 전략 수립을 위해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과 60대40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최근의 주식시장 동향과 그에 따른 투자 전략 변화를 분석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돈 잘 버는' 배달? 로켓배송 중독된 당신이 알아야 할 것'돈 잘 버는' 배달? 로켓배송 중독된 당신이 알아야 할 것[소셜 코리아] 액화노동 현실 고민한 , 따뜻한 학자가 반박하는 비정한 자본논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탄핵 직전, 27개 학회가 국힘 의원들을 찾아간 까닭윤석열 탄핵 직전, 27개 학회가 국힘 의원들을 찾아간 까닭[소셜 코리아] 탄핵 반대가 국민 뜻인가...민주주의 위기로 복지국가 기반 훼손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튜브 스튜디오 라이브 채널 3곳유튜브 스튜디오 라이브 채널 3곳다양한 스튜디오 라이브 채널 중 잇츠 라이브,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 딩고뮤직을 소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제위기 유럽은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고 있을까경제위기 유럽은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고 있을까[소셜 코리아] 우리에게도 유효한 드라기 보고서 'EU 경쟁력의 미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커머스 부정 이미지 강한데”…신세계 손잡은 알리, 韓시장서 덩치 커질까“C커머스 부정 이미지 강한데”…신세계 손잡은 알리, 韓시장서 덩치 커질까알리, 신세계와 ‘전략 동맹’ 맺었지만 “C커머스 국내 고객 신뢰도 회복해야” 합작법인 사업 방향에 따른 변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4 15: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