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실은 24일 ‘윤석열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위헌·위법적 요소가 있다고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이 24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서울재팬클럽(SIC)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국무총리실은 24일 ‘ 윤석열 내란 특검법 ’과 ‘ 김건희 특검법 ’에 대해 위헌·위법적 요소가 있다고 밝혔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두 특검법 을 법률적·행정적으로만 판단하면 위헌·위법이라고 판단하나’라는 질문에 “그런 요소가 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여러 차례 그동안 유사한 법안들이 넘어왔을 때 저희가 국무회의에서 재의요구를 했다”며 “그 때 여러 번 말씀드린 흠결이 전혀 지금 수정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기초해서 보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건희 특검법 은 그동안 야당 주도로 세 차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윤석열 대통령이 모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후 야당이 네 번째로 통과시킨 법안이다.
그동안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무회의에 특검법 재의요구안을 상정하면서 특검추천권을 사실상 야당이 독점하는 점 등을 위헌적 요소로 꼽아왔다. 이번 법안에도 같은 흠결이 있다는 뜻이다. 고위 관계자는 내란특검법에 대해서는 “같은 결함을 갖고 있다”면서도 “이런 지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부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해서는 “재판관과 검사가 같은 쪽에서 추천이 돼서 넘어왔다는 얘기가 국민의힘에서 나온 적 있다”고 말했다.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3명 중 2명이 야당 추천 인사라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을 기소하는 검사 역할을 하는데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했고, 탄핵심판의 재판부인 헌법재판관에도 야당의 입김이 더 많이 반영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고위 관계자는 “아무리 민주주의라는 것이 다수에 의해서 결정이 되지만 그 다수 의견과 소수 의견이 너무나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정부가 그야말로 행정적인 잣대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여·야·정 국정협의체에서 여야가 쌍특검법과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타협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이날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절차를 가동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좀 더 심사숙고해 주실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했다
특검법 위헌 위법 한덕수 윤석열 김건희 야당 국민의힘 민주당 탄핵 국정협의체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 윤 대통령 탄핵안 2차 발의···내란 특검법·김건희 특검법 표결‘윤석열 내란 특검법’(12·3 윤석열 내란 사태에 대한 특검법)과 네 번째 김건희 특검법이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에 부쳐진다. 윤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내란 특검법·네 번째 김건희 특검법, 야당 주도로 법사위 통과‘윤석열 내란 특검법’(12·3 윤석열 내란 사태에 대한 특검법)과 네 번째 김건희 특검법이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법사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24일 국무회의에 특검법 상정 안 한다…막판까지 거부권 여부 숙고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는 24일 ‘윤석열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기로 했다. 야당은 한 권한대행이 이날까지 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찬대,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 촉구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무회의에 '윤석열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을 올리지 않자 탄핵 절차를 바로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발적이고 우연한 오판? 계엄은 ‘갑툭튀’가 아니었다[주간경향] 지난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위헌·위법적 소지가 다분했다. 군과 경찰이 함부로 국회를 점거하고 국회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해제, 탄핵 순간 사라진 국회의원들은?윤석열 대통령의 친위쿠데타나 다름없는 위헌·위법적 비상계엄 선포를 제도적으로 무력화한 건 다름 아닌 국회였습니다. 헌법은 국회가 재적의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