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김현영 | 여성현실연구소장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학술대회에서 지난 십수년 동안 반복해서 목격한 장면이 있다. 청중에게 질문의 기회를 주면 누군가 손을 들고 ‘위안부’ 중 어떤 피해자의 증언은 거짓이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
제79주년 광복절인 15일 항일독립선열 선양단체 연합이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내 삼의사 묘역에서 개최한 광복절 기념식을 마친 참석자들이 독립기념관장 임명 철회 등을 요구하며 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학술대회에서 지난 십수년 동안 반복해서 목격한 장면이 있다. 청중에게 질문의 기회를 주면 누군가 손을 들고 ‘위안부’ 중 어떤 피해자의 증언은 거짓이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다. 이것은 질문일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질문을 하는 사람의 목적은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과는 다른 ‘진짜 진실’을 알고 있는 자신을 과시하는 데 있다. 이 과시적 질문자들은 ‘강제로 끌려간 일본군 위안부’라는 형상에 딱 들어맞지 않는 경우를 의심할 만한 근거로 제시한다. 속아서 가거나, 알려진 것만큼 감금되어 있지 않았거나, ‘소녀’가 아니었거나, 조선인이 아니었거나, 당시에 받은 군표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해한 경우 등이다.
‘끌려간’ 것은 아니지 않냐는 항변을 하는 이들이 있다. 하지만 ‘끌려간’을 반드시 ‘위안부’라는 명사에 붙은 형용사적 용법으로만 읽으라는 법은 없다. 이것은 일종의 ‘편집증적 읽기’다. ‘끌려가다’라는 동사의 시제는 그것이 언제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본군 ‘위안부’가 어떤 일을 했으며 이 사건이 이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당시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단 한명이라도 있었을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다는 걸 나중에 알았을 때 사후적으로 자신이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완전한 무지 상태에 놓여 있는 완벽한 피해자만이 이 문제에 대해 피해자로서 말할 수 있다면 그 피해자에게 대체 ‘앎’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일까.
제도로서의 위안소가 존재했던 것과 그곳에서 남성 군인을 대상으로 여성들이 성적 ‘위안’을 제공하도록 했다는 사실 자체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해석투쟁의 영역은 이 사건에 어떤 이름을 붙일지에 달려 있지 이 사건 자체가 일어났는지 여부에 있지 않다. 그리고 피해는 상황이지 정체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름 붙이기’는 그 자체로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역사였다. 그런 점에서 나는 ‘위안부’에 붙은 작은따옴표가 페미니스트 지식 생산자들이 가독성이 떨어지지만 모순을 견디기 위해 독자들과 나누는 일종의 지적인 표지판이자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부당한 질문은 대상을 물화시킨다. 한국의 ‘위안부’ 운동이 피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피해의 진정성을 반복적으로 주장한 것은 이러한 물화의 결과이자 원인이 되었다. 현재 한국 정치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공론장은 정치적 교착 상태를 넘어서 이 논의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진 상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피해자들 깨운 김학순 할머니의 용기'…12번째 '위안부' 기림일(종합)(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기자=12번째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국내외 시민단체는 집회와 문화제를 이어가며 피해자들의 용기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용수 할머니 '일본에 승소한지 8개월…한국정부 적극 나설때'(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6) 할머니는 14일 '일본 정부를 상대로 2차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해 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찜통더위에 일본대사관 앞 모인 400여명 '위안부 공식 사죄해야'(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기자=국내외 시민단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인 14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2차 세계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진숙, ‘위안부 강제동원’에 “논쟁적 사안”이라고 답했다 취소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 동원과 관련해 “논쟁적 사안이기 때문에 답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가 취소했다. 이 후보자는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일 정부 소원수리만 골몰하는 굴욕외교”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어김없이 ‘수요시위’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뙤약볕 아래에서도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을 요구하고, 한국 정부의 굴욕 외교 중단을 촉구했다. “요즘 독립기념관장 인사나 사도광산 외교 참사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숙이' 할머니를 기억하는 방법경남 남해군의 유일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박숙이 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지난 15일 보물섬시네마에서 제8회 숙이나래문화제가 열렸다. 제79주년 광복절, 뜻깊은 행사가 마련된 것.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매년 8월 14일이다. 숙이나래문화제는 박숙이 할머니의 이름을 본떠 만든 일본군 위안부 기림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