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불난리를 겪고도…산불 위험에도 ‘불법 소각’ 여전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이 불난리를 겪고도…산불 위험에도 ‘불법 소각’ 여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68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3%

지난 29일 아침 7시 전북 완주군 삼례읍. 아침운동을 나온 임승기(63) 완주군 산불예방진화대장이 연기가 나는 것을 발견하고 달려갔다. 그곳에서는 ㄱ(74)씨가 영농부산물인 깻대를 태우고 있었다. 임 대장은 불부터 끈 뒤 ㄱ씨의 인적사항을 확인하고 경고 처리했다. 임

지난 29일 아침 7시 전북 완주군 삼례읍. 아침운동을 나온 임승기 완주군 산불예방진화대장이 연기가 나는 것을 발견하고 달려갔다. 그곳에서는 ㄱ씨가 영농부산물인 깻대를 태우고 있었다. 임 대장은 불부터 끈 뒤 ㄱ씨의 인적사항을 확인하고 경고 처리했다.

임 대장은 “평일에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순찰을 하고, 최근에는 야간에도 대응조가 편성돼 순찰에 나서고 있다. 그런데 어르신들이 진화팀 출·퇴근 시간을 알고 있어 이른 새벽이나 밤늦게 소각한다.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이고, 영세한 분들이다 보니 매정하게 과태료를 부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영남에서 난 초대형 산불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영농 부산물 불법 소각은 여전하다.30일 오전 둘러본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서도 밭 곳곳에 여러 차례 불을 피운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산불 조심 기간을 맞아 감시 인력들이 마을 곳곳을 순찰하고 있지만 빈틈을 노려 영농 부산물 등을 불법 소각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춘천시청 불법소각 단속반 지정훈 주무관은 “요즘은 농촌에 사는 어르신들도 영농 부산물 소각이 불법이라는 건 다 안다. 하지만 ‘내가 이거 좀 태운다고 산불로 번지겠어?’라는 안전불감증이 가장 큰 문제다. 그러다 보니 요즘엔 단속에 걸리지 않게 연기가 보이지 않는 일몰 후에 태우는 사례가 부쩍 늘었다”고 했다. 이 탓에 춘천시청 불법소각 단속반은 이른 아침부터 밤 10시까지 현장 단속 시간을 확대하는 등 단속인력과 불법 소각 농민 사이의 숨바꼭질이 이어지고 있다.현장에서 만난 농민들은 영농 부산물 수거 등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관련법상 영농 부산물은 ‘폐기물’로 분류돼 종량제 봉투에 담아 분리 배출해야 하는데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70대 농민은 “비닐하우스 10동에서 발생한 영농 부산물을 모아 놓으면 어마어마하다. 아무리 커다란 종량제 봉투를 준비해도 뿌리와 줄기 등을 넣다 보면 비닐이 다 찢어질 것이고, 가뜩이나 바쁜 영농 준비철에 부산물을 봉투에 넣을 인력도 없다. 불법인 건 알지만 시간이 날 때마다 조금씩 태우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태우지 말라고만 하지 말고 영농 폐비닐처럼 지역마다 마을공동집하장을 만들어 영농 부산물을 수거하는 시스템부터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산림청이 계절별 산불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연평균 산불 건수 546건 가운데 303건이 봄철에 집중됐다. 주요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71건으로 가장 많지만, 쓰레기 소각 68건과 논·밭두렁 소각 60건이 바로 뒤를 이었다. 전체 산불 중 24%는 농민 부주의가 산불로 이어진 경우인 셈이다.

한편, 경북 산불의 최초 발화 혐의를 받는 50대가 이날 경찰에 입건됐다. 경북경찰청은 지난 22일 오전 11시24분께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불이 나게 한 혐의로 ㄴ씨를 지난 29일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큰 고비 넘긴 이재명, 산불 복구 위한 추경 추진큰 고비 넘긴 이재명, 산불 복구 위한 추경 추진사법리스크 덜어낸 李…경북 산불 현장행 尹탄핵은 박찬대 원내대표 주도로 대응 朴 “李대표는 산불 피해복구 힘쓰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불속 버려진 동물들…의성서 개·염소 등 24마리 구출산불속 버려진 동물들…의성서 개·염소 등 24마리 구출20여 개 동물보호단체로 이뤄진 ‘루시의 친구들’은 산불 발생 이틀째인 지난 23일부터 의성 산불 현장을 돌며 동물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단체는 산불 현장을 돌면서 얼굴에 심한 화상을 입은 고양이와 줄에 묶인 채 화마에 노출돼 있던 만삭의 어미개, 달궈진 쇠목줄 때문에 목 부분에 화상을 입은 개 등 24마리를 구출했다. 루시의 친구들은 의성 산불 현장에서 동물 구조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앞서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된 경남 산청과 울산 울주군 등지의 산불 현장에서도 활동할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점의 관점+] 지방에 집중된 산불, 중앙 언론은 무심…정부와 언론의 '쌍불감증'이 화마 키웠다 | 뉴스레터[관점의 관점+] 지방에 집중된 산불, 중앙 언론은 무심…정부와 언론의 '쌍불감증'이 화마 키웠다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뜨겁고 마른 바람’이 산불 부채질…건조 특보에 강풍 지속‘뜨겁고 마른 바람’이 산불 부채질…건조 특보에 강풍 지속전국에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끄덥고 마른 바람 탓에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당분간 건조한 대기에 강한 바람이 지속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국 뒤덮은 산불에 국회도 ‘일시 멈춤’... 與野 재난대응 총력전국 뒤덮은 산불에 국회도 ‘일시 멈춤’... 與野 재난대응 총력지도부 차원에서 산불 피해 지역구 의원들에게 재난 대응 활동을 적극 독려하고 있는 국민의힘은 이날 1조6000만원 상당의 긴급 구호 물품을 피해 지역에 전달하기도 했다. 전날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직후 고향인 경북 안동 산불 현장을 찾은 이 대표는 이날 경북 의성군 산불 피해자 분향소와 산불로 전소한 고운사, 청송군 이재민 대피소 등을 찾았다. 이 대표와 함께 산불 피해 지역을 방문한 한병도 민주당 재난재해대책특별위원장은 '정부는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조속한 진화에 나서달라'며 '민주당도 모든 지원과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힘 “이재명과 민주, 예비비 삭감해 산불대응에 한계”…“사과하고 추경에 협조해야”국힘 “이재명과 민주, 예비비 삭감해 산불대응에 한계”…“사과하고 추경에 협조해야”국민의힘은 30일 산불 대응에 4조8700억원을 투입할 수 있다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장을 반박하면서 “대국민 사기극을 펼치는 이 대표는 국민 앞에 사과하고, 산불 대응 예비비 추경에 적극 협조하라”고 밝혔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민의힘 위원 일동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대표는 산불 관련 예산이 4조8700억원 있다며 산불 대응에 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3 13: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