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불법 음란물·성매매 정보와 관련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에 부과한 시정조치 건수는 급증한 데 반해, 정부 내 인력과 예산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플랫폼을 중심으로 불법 유해정보가 꾸준히 생산되면서 사용자들이 무분별하게 해당 정보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해외 플랫폼이 유해정보를 대부분 유통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불법 음란물·성매매 정보와 관련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 부과한 시정조치 건수는 급증한 데 반해, 정부 내 인력과 예산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플랫폼을 중심으로 불법 유해정보가 꾸준히 생산되면서 사용자들이 무분별하게 해당 정보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해외 플랫폼이 유해정보를 대부분 유통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박찬대 의원실이 방심위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사업자별 불법 유해정보 시정조치 건수’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경우 2019년에 24건의 시정조치를 받았지만, 올해 1473건으로 61배로 늘었다. 페이스북 역시 같은 기간 8건에서 346건으로 급증했다.국내 기업인 카카오의 시정조치 건수는 2019년 252건에서 올해 7건으로 되레 줄었다. 네이버는 같은 기간 38건에서 120건으로 늘었지만, 시정조치 규모는 해외 업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같은 상황인데도 불법 음란물·성매매 정보를 규제하는 방심위의 예산과 인력은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다. 관련 예산은 2019년 10억4706만원에서 올해 8억7996만원으로 약 16%가 삭감됐다.박찬대 의원은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같은 SNS는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성매매와 같은 불법 유해정보들이 우리 청소년과 아이들에게 노출될 우려가 크다”며 “방심위의 모니터링 업무와 관련한 제도, 예산 및 인력 등에 대해 개선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교육청 “내년 교육사업비 30% 줄일 판··· 교육재정 남아돈단 말 1년 만에 옛 얘기”세수가 줄어 초중등교육에 쓰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도 감소하면서 일선 교육청들이 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R&D 예산 증액’ 조선일보 보도 “사실과 다르다”대통령실은 20일 “오늘 일부 언론에 보도된 R&D(연구·개발) 예산 증액 검토 건은 사실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대통령실 건설 예산 10억 늘어…‘용산 이전’ 도미노 효과?대통령실 전체 예산 1000억 돌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묻지마 삭감’에 백신 R&D 80%↓…복지부, 과기부 정면 비판백신개발 3개 사업 통폐합해 예산 82% 삭감복지부, 국회 제출 자료서 “삭감 근거 미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백신 개발 예산 비효율적’ 삭감에…복지부 이례적 반박백신개발 3개 사업 통폐합해 예산 82% 삭감복지부, 국회 제출 자료서 “삭감 근거 미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